“웹3 게임, 라인 기반으로 확장”…메타보라게임즈 신작 발표에 업계 주목
웹3 게임이 차세대 게임 산업의 패러다임을 크게 흔들고 있다. 메타보라게임즈와 발리게임즈가 25일 일본 최대 웹3 컨퍼런스 ‘웹X2025’에서 신작 ‘퍼즐앤가디언즈’를 처음 선보이면서, 글로벌 웹3 게임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와 사용자 경험 혁신이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행사가 글로벌 디앱 게임 경쟁의 변곡점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메타보라게임즈와 파트너사 발리게임즈는 도쿄에서 열리는 ‘웹X2025’ 행사장에서 라인 넥스트, 카이아 DLT 재단과 협력한 ‘미니 디앱 스테이션’의 핵심 파트너사로 참여했다. 현장에서는 신작 게임 플레이 영상을 공개하고, 참관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퍼즐앤가디언즈는 라인 메신저 기반의 미니 디앱 게임으로, 퍼즐 장르의 대중성과 RPG 성장 시스템의 몰입감을 결합했으며, 웹3 보상 메커니즘까지 도입해 기존 게임과 차별화를 시도했다. 기존 퍼즐게임과 달리 블록체인 기반 보상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

공동 개발사인 발리게임즈는 ‘애니팡’ 시리즈 등 글로벌 흥행작을 선보였던 핵심 개발진이 창업한 업체로, 국내 게임사 중 처음으로 스카이 마비스의 전략적 투자도 유치했다. 이는 ‘엑시 인피니티’ 등 기존 글로벌 웹3 게임과의 협력 생태계를 한층 강화하는 시도다. 특히 이번 미니 디앱은 라인 메신저와 보라 생태계를 기반으로, 일본 및 아시아 시장 외연 확장의 기대감을 높인다는 평가다.
메타보라게임즈가 이번 행사에서 공개한 신규 브랜드 ‘보라 딥스’ 역시 주목된다. 보라 딥스는 사용자 참여와 서비스 간 시너지를 높이는 핵심 인프라로, 곧 다양한 웹3 게임·디앱 콘텐츠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또, 미션과 웹3 보상을 결합한 ‘퀘스트’ 보상 플랫폼을 도입해, 출시 게임과 연계된 이용자 맞춤형 리워드 제공도 준비 중이다.
한편 전 세계 웹3 게임 시장은 이미 미국·일본·동남아 개발사 중심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선행 글로벌 사례로는 스카이 마비스의 ‘엑시 인피니티’, 유럽 기반 디앱 게임들이 혁신적 보상과 NFT 결합 비즈니스 모델을 앞세워 시장을 넓혀 가고 있다. 국내 기업 간 파트너십을 통한 디앱 실사용 확장은 기존 게임 산업의 경쟁구도를 바꿀 수 있는 요소로 꼽힌다.
웹3 게임 서비스는 여전히 블록체인 규제, 이용자 데이터 보안, 디지털 자산 유통 및 과세 등 보완 과제도 남아 있다. 일본, 싱가포르 등 주요 국가는 웹3 게임 관련 암호자산 관리·규제 체계를 마련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적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웹3 기반 미니 디앱 및 보상 시스템이 실제 런칭 이후 사용자 충성도와 수익모델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플랫폼 내 신뢰성과 생태계 확산이 관건”이라는 견해도 이어지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