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치킨중량 줄인 꼼수 인상”…대통령실, 슈링크플레이션 방지 지시

정유나 기자
입력

프랜차이즈 치킨 업체들이 가격을 올리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량을 줄이거나 원재료를 저렴한 부위로 바꾸는 ‘슈링크플레이션’ 행태를 두고, 대통령실이 강력한 대응책 마련을 지시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17일 수석보좌관회의를 통해 소비자물가 안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음식의 맛이나 서비스를 개선하지 않고 가격만 올리는 방식은 문제”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치킨이 빵이나 라면과 달리 중량 표시 의무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같은 제도적 허점이 ‘꼼수 인상’을 키우고 있다는 입장이다.

강훈식 / 연합뉴스
강훈식 / 연합뉴스

실제로 일부 프랜차이즈 치킨 업체들은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도 포장 중량을 줄이거나, 기존에 사용하던 부위 대신 더 저렴한 재료로 메뉴를 구성하는 사례가 나타나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치킨 한 마리가 예전보다 명백히 적어진 느낌” “광고와 실제 상품의 차이가 크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슈링크플레이션이 문제로 떠오른 배경에는, 음식을 비롯한 일부 품목의 중량 표시 의무 미비 등 제도의 틈이 있다는 지적이 지속돼 왔다. 전문가들은 “가격 인상은 해마다 거론됐지만, 포장 또는 중량에 관한 고지는 뒤따르지 않아 소비자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슈링크플레이션 근절을 위한 근본적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중량 표시 확대, 표준화된 표시 방법 도입 등 제도 정비 여부가 논의될 전망이다.

 

한편, 강훈식 비서실장은 주말부터 시작될 가을 추위에 대비해 난방에 취약한 계층을 위한 지원 방안과 출산 장벽을 낮출 수 있는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방안 마련도 함께 당부했다.

 

슈링크플레이션 등 식품 가격 인상 논란은 일회성에서 그치지 않고 반복되고 있어, 중장기적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관계 당국은 추가 대책을 논의하며 업계 실태 조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통령실#프랜차이즈치킨#슈링크플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