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마카오 회의 잠정 연기 통보"…중국발 변수에 한중일 문화외교 흔들려
중국과 일본의 외교 갈등이 문화외교 무대까지 번졌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이른바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 이후 한중 간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이달 예정돼 있던 3국 고위급 문화협력 회의가 취소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중국 문화부는 18일 우리 정부에 연락해 24일 마카오에서 열기로 한 2025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를 잠정 연기한다고 통보했다. 회의는 한중일 3국이 순번제로 개최해 온 연례 장관급 협의체로, 올해는 중국이 의장국을 맡아 마카오 개최를 준비해 왔다.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는 2007년 출범한 이후 해마다 이어져 온 3국 간 핵심 문화외교 플랫폼이다. 3국 문화장관이 한 자리에 모여 문화 교류와 콘텐츠 산업 협력, 인적 교류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해 왔고, 각국 지방도시와 문화기관을 잇는 후속 사업으로도 이어져 왔다.
그러나 중국 문화부는 이번 연기와 관련해 구체적인 사유를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중국 측으로부터 잠정 연기 통보만 받았다고 밝히며, 새로운 개최 일정이나 형식도 제시되지 않았다고 했다.
최근 동북아 정세를 감안하면 배경을 둘러싼 해석이 이어지고 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에서 유사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을 한 뒤 중국과 일본 간 갈등이 급격히 격화된 상황에서, 3국 이름을 내건 다자 문화장관회의가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긴장이 직접적인 원인인지, 아니면 동북아 안보 환경 전반의 악화에 따른 외교적 고려인지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다만 중국이 의장국으로서 회의 진행권을 쥐고 있는 만큼, 향후 재개 여부와 시점도 중국의 외교적 계산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편 우리 정부는 그동안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를 통해 3국 공동 문화유산 활용, 청소년·예술인 교류, 문화콘텐츠 공동 제작 등 협력 의제를 꾸준히 확장해 왔다. 회의가 연기되면서 내년 이후 사업 로드맵에도 조정이 불가피해졌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향후 중국 문화부와 외교 채널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로 소통을 이어가며 개최 가능성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동북아 외교 안보 환경이 요동치는 가운데, 국회와 정부는 정기 회기와 향후 외교 일정에서 한중일 문화협력 틀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