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웹3·AI 융합 보안 전략”…라온시큐어, 혁신 인증 모색 신호탄
IT/바이오

“웹3·AI 융합 보안 전략”…라온시큐어, 혁신 인증 모색 신호탄

송다인 기자
입력

웹3와 인공지능(AI) 융합 기술이 보안·인증 산업의 변곡점을 예고하고 있다. 라온시큐어가 내달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2025 시큐업&해커톤’은 올해 역대 최대 규모로, 3개 트랙에서 웹3·AI를 활용한 미래 보안 전략과 디지털 인증 혁신을 구체적으로 조망한다. 업계는 글로벌 트렌드와 실전 해커톤 결선을 한 자리에서 모은 이번 행사를, 차세대 인증 시장 주도권 경쟁의 시험대로 본다.

 

라온시큐어는 올해 13회째를 맞는 ‘시큐업’을 국내외 보안·인증 생태계의 공유 장으로 확장했다. 행사는 디지털 자격증명·AI·양자내성암호(PQC) 등 첨단 보안기술과 메타버스, 블록체인 기반 융합 사례를 집중 조명한다. 특히 A트랙에서는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를 비롯해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 개발 수석, 미즈마 이츠노부 사이버링크스 CISO 등 해외 주요 인사가 글로벌 시장의 최신 보안 인증 전략을 직접 소개한다.

라온시큐어 플랫폼의 핵심은 단순 암호화 기술을 넘어서, 분산형 신원(DID)·블록체인 기반 인증과 AI 접목에 있다. 실제로 메타버스 실습 서비스 ‘메타데미’와 같은 솔루션은 XR(확장현실)에서 디지털 공간과 사용자 인증을 연결, 기존 디지털 인증 방식이 가진 중앙 집중화·확장성 문제를 해소했다는 평을 받는다. 메타버스·웹3 플랫폼과 AI 기반 보안 엔진이 결합되면, 기존 방식 대비 실시간 위험 탐지와 신원 관리 자동화 역량이 2배 이상 개선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보안·인증 솔루션의 시장 적용은 행정·금융기관의 모바일 신분증 활성화, N차 해커톤 기반 신사업 발굴로 확장되고 있다. 이번 해커톤에서는 209개 예선 팀이 치열한 경쟁을 펼친 끝에, 10개 팀이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혁신 아이디어로 결선에 진출했다. 수요자 입장에서는 실질적 피싱·사기 예방, 원격근무·디지털헬스 등 생활 전반에 걸친 보안 신뢰가 핵심 효과로 부상했다.

 

글로벌 인증 시장에서는 이미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AI 보안 엔진 경쟁이 본궤도에 올라섰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은 신원정보 투명성·이력 관리, 개인정보 도용 방지 등 보안 규제·법제도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내 디지털 인증 서비스 역시 국제 표준 채택 및 글로벌 협력을 통해 시장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하는 추세다.

 

기술 상용화 핵심 변수로는 데이터 신뢰성, AI 알고리즘 투명성,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한 PQC(양자내성암호) 채택 등이 꼽힌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최근 DID 기술과 AI 인증 알고리즘으로 신규 특허 확보 및 소프트웨어 보안국 인증을 획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산업계 내에서는 개인정보·블록체인 활용에 대한 규제 정합성과 실사용성 검증, 보안 윤리(ethics) 의제 역시 여전히 과제로 지목된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웹3와 AI 융합이 보안·인증 혁신 구현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초연결 시대에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과 미래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행사가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제도·기술·산업 생태계 전반에 미칠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라온시큐어#웹3#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