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디지털 자산도 정부 소유권 확대 대상?”…미국, 리플 에스크로 XRP 논쟁 확산
국제

“디지털 자산도 정부 소유권 확대 대상?”…미국, 리플 에스크로 XRP 논쟁 확산

송우진 기자
입력

현지 시각 26일, 미국(USA) 정부가 인텔(Intel) 주식 10%를 확보한 데 이어 리플(Ripple)사의 대규모 XRP(엑스알피) 에스크로 보유분을 둘러싼 소유권 논쟁이 커뮤니티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의 민간기업 자산 참여 확대와 맞물려 암호화폐 시장, 특히 디지털 자산 소유권 구조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현지 주요 외신 타임스 타블로이드(Times Tabloid)는 이번 인텔 지분 인수를 미 정부의 주권펀드형 운용 전략으로 해석하며 민간·디지털 자산에 이르는 소유권 확대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고 진단했다. 워처구루(Watcher.Guru)는 "미국 정부가 추가 기업 지분 인수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 정책 기조 변화가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리플 XRP 에스크로, 미 정부 소유권 확대설에 커뮤니티 논쟁
리플 XRP 에스크로, 미 정부 소유권 확대설에 커뮤니티 논쟁

이 같은 상황에서 커뮤니티 내에서는 “정부가 리플 에스크로 XRP 보유분까지 노릴 수 있다”는 추측이 잇따랐다. 인플루언서 잭 렉터(Zach Rector)는 "그들이 리플의 에스크로 XRP를 원할지도 모른다"며, 정부 규제와 중앙집중형 자산 관리가 암호화폐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반면 일부 이용자는 “정부 개입이 과도해지면 국제 거래 제약, 특히 대중국 송금 봉쇄 등 글로벌 확장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경계했다.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에 주목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용자 사이크노그(SikeNawG)는 “소송 본질이 정부·금융기관의 시장 진입 지연 전략”이라고 주장하며, 민간 혁신과 제도권 세력 간 힘겨루기가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내 일각에서는 이번 논쟁을 계기로 암호화폐 시장 구조가 규제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디지털 자산이 점차 제도권 운용 논의로 들어오는 것은 불가피한 흐름”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BBC 등은 “커뮤니티의 이견이 암호화폐 시장의 불확실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아직 미국 정부가 XRP 에스크로에 공식적인 소유권 이전 또는 개입을 논의한 적은 없으나, 대규모 민간 자산 인수 기조가 디지털 영역으로 번질 경우 시장의 근본적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리플은 물론 다른 암호화폐 자산에까지 규제 확산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운용 전략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의 공공성·중앙화 논쟁이 불붙을 수 있다고 내다본다. 앞으로 정책 환경 변화와 관련 시장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도 이어지고 있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리플#x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