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 앞두고 수련환경 TF 논의”…수련병원장·대전협, 협력 본격화
전공의 복귀를 앞두고 수련병원장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가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 논의에 착수했다. 26일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대전협 한성존 비대위원장과 주요 수련병원장들이 참석해, 전공의 수련환경 안정화와 내부 갈등 해소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업계는 이번 대화가 전공의 복귀와 더불어 의료계 내부 화합 및 미래 의료인력 수급 안정의 기초가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이날 논의된 핵심은 장기화된 전공의 사직 사태로 인한 의료계 내부갈등의 봉합, 국가 차원 전공의 수련 투자 확대, 수련환경 개선 TF(태스크포스) 신설, 다기관 협력수련 등이다. 특히 수련환경 TF 신설과 관련해, 병원별 업무 분장 문제와 진료전담·전문 간호사(PA)의 역할 조정 등이 우선 과제로 꼽혔다. 이는 전공의 수련 질 향상 및 안전한 의료 환경 조성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업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수련병원장들은 현장 혼란 최소화를 최우선 목표로 내세웠다. 양측은 지난 1년 반 동안 불안정했던 병원 시스템 정상화와, 전공의·교수·간호사 등 직종별 갈등 해소 노력 필요성에 공감했다.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전공의 복귀와 동시에 협력 기반을 다져 의료 미래를 설계하겠다”며, 향후 다양한 어려움 극복과 수련 환경 재구축 의지를 밝혔다. 수련병원 측 역시 병원 내 다양한 구성원의 안정적 협력과 새로 합류하는 전공의와의 시너지를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충북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고려대안암병원, 한양대병원, 경북대병원 등 전국 7대 수련병원장이 참석했다. 최근 대전협이 ‘수련환경 TF 구성’ 필요성을 공식 제기한 만큼, 병원별 참여와 정책 추진 속도에 따라 내부 개선안 현장 적용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전공의 복귀를 둘러싼 내부 갈등 문제에 대해 한성존 위원장은 “무리한 정책과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사안”임을 강조하며, 구성원 간 감정의 골을 예방하고 공동의 책임 의식을 촉구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병원 조직 내 수련환경 개선이 의료 서비스 질 향상과 연결되는 만큼, 각 이해관계자 협의체 운영 성과에 이목을 두고 있다.
향후 수련환경 TF 논의가 국가 정책, 병원 경영, 의료인 교육체계까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산업계는 이번 간담회에서 합의된 논의 결과가 실제 현장에 빠르게 적용될지, 전공의 복귀와 함께 의료인력 수급 체계 정상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