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장 처벌 언급 없었다”…윤석열, 9시간 특검 조사서 외압 의혹 전면 부인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수사 외압·은폐 의혹이 다시 정치권 대립의 불씨로 떠올랐다. 쟁점의 중심에 선 윤석열 전 대통령은 11일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에 전격 소환돼 약 9시간에 걸쳐 혐의를 강하게 부인했다. 특검팀은 100페이지가 넘는 질문을 토대로 외압·로비 의혹을 집중 제기하며 정면 대결 양상을 보였다.
이날 서울구치소에서 오전 10시 20분부터 시작된 조사는 오후 7시 30분까지 이어졌다. 윤 전 대통령은 직권남용과 범인도피 등의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았으며, 실제 조사는 5시 30분쯤 종료됐다. 이후 2시간가량 진술조서를 열람한 뒤 구치소로 복귀했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 배보윤은 조사 직후 "사단장 처벌과 관련한 말씀은 전혀 없었다"며 "구체적으로 수사나 처벌이 잘못됐다는 지시도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을 위한 수사 외압을 가했다는 의혹에 대해 일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또한 "아들·딸 군으로 보낸 부모 전체의 입장에서 재발 방지, 책임자 문책을 언급했을 뿐"이라며 "군 내부 경위 조사를 통해 인사 조치가 필요하면 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대통령실 격노설 및 당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의 긴급 통화에 대해서도 윤 전 대통령 측은 "(임기훈) 비서관이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해 직접 전화한 것"이라며 격노설 의미를 축소했다. 또 "기업 사고·재해를 언급하며 사고 수사는 수사기관의 역할이나, 내부적으로 인사 조치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에서 김장환 목사와 개신교계 구명 로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및 김건희 여사 관련 구명 의혹, 임 전 사단장 혐의자 제외 압력, 이종섭 전 장관 호주 대사 임명 및 도피 의혹 등 관련 쟁점까지 폭넓게 질의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모든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진술거부권은 행사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준비한 100쪽이 넘는 질문을 모두 소화한 뒤, 향후 이종섭 전 장관의 해외 도피 의혹을 추가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의 2차 소환은 변호인단 일정 등을 고려해 15일 전후로 논의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해병특검팀 출석은 이번이 처음이며, 현 시점 가동 중인 3개 특검팀 중에서는 지난달 내란특검팀 조사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달 내란특검팀 조사에서는 진술을 거부했으나, 이번 해병특검팀 조사에서는 진술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다.
특검의 소환 조사가 이어지며 정치권의 책임 공방, 대선 정국 내 외압·공직남용 이슈가 재부상하고 있다. 향후 특검팀의 추가 조사와 국회의 후속 논의가 다시 한 번 정국의 중대 변곡점이 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