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앞 초고층 재개발, 세계유산 가치 위협”…국가유산청, 서울시 결정에 공개 경고
종묘 인근 세운4구역 재개발 허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의 가치와 역사문화경관이 훼손될 수 있다는 국가유산청의 강경한 우려가 공식화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7일 국가유산청은 허민 청장 명의 공식 입장문을 통해 "종묘는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며 서울시의 재개발 결정에 대해 공개적으로 경고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세운4구역 건물 높이 상한을 종로변 55m, 청계천변 71.9m에서 각각 98.7m, 141.9m로 높이는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 및 지형도면을 고시했다. 이어 6일 대법원이 '서울특별시 문화재보호조례 개정조례안 무효'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리면서, 서울시의 재개발 사업 진행에 탄력이 붙었다. 그러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종묘를 둘러싼 초고층 건물 건설이 세계유산 보전에 위협이 된다는 비판 역시 커지고 있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입장문에서 "종묘는 500년 넘게 이어온 살아 있는 유산이자 대한민국 정부가 1995년 최초로 유네스코에 등재한 세계유산"이라며, "종묘 앞에 건설될 초고층 건물들은 수백 년간 유지된 역사문화경관과 종합적 가치를 직접적으로 위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위험을 자초한 것은 유산 보호 책임이 막중한 서울시"라고 비판했다.
오랜 기간 세계유산 종묘의 경관 훼손 우려는 반복적으로 지적돼 왔으나, 도시 개발 논리와 문화재 보호 논리가 충돌할 때 현행 법·제도 상 보전 장치가 한계에 봉착하는 현실이 드러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세계유산법 개정 등 모든 방법을 강구해 종묘의 지위를 반드시 지키겠다"고 밝혀, 정부 차원의 강경 대응도 예고했다.
서울시는 재개발로 도시 활성화와 주거, 상업 기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전문가들과 시민단체는 "종묘를 해치는 도시 계획은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이 결여됐다"는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관련 시민단체는 긴급 의견서를 발표하는 등 사회적 논의도 확산되는 분위기다.
국가유산청은 "오늘의 사안은 단순한 높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는 콘크리트 빌딩이 아닌 세계인이 함께 향유할 유산을 미래 세대에 물려줘야 한다"며 사회적 공감과 참여도 호소했다.
한편, 이번 종묘 경관 보존 논란이 향후 제도 개정과 도시개발 관행 개선으로 이어질지, 국가유산청의 추가 조치와 시민사회의 움직임이 주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