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선거 여론조사, 공정성 훼손”…이정선, 특정 경력 표기에 강력 반발
교육감 선거 여론조사에서 전직 대통령 이름을 직함에 사용한 문제를 두고 광주광역시교육감 선거가 뜨거운 쟁점에 휩싸였다. 다가오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정선 광주교육감은 특정 후보의 이른바 ‘노무현 시민학교장’ 명칭 사용을 정면 비판하며, 여론조사 방식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9월 6일 배포한 입장문에서 “특정 후보가 노무현 시민학교장이란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정치적 상징을 끌어다 쓰는 행위로, 교육을 정치화하고 여론을 왜곡하는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출마 예정자 전체가 아닌 소수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역시 다양성을 왜곡하고 시민 판단을 제한한다”며, 광주지역 교육감 선거 여론조사 방식 전반의 불공정성을 지적했다.

이어 “신뢰성을 잃은 여론조사에는 어떤 경우에도 참여하지 않겠다"면서 "공정성과 객관성이 보장된 조사 방식 마련과 함께 정치적 상징 배제, 모든 후보 동등 참여 지침이 필수”라고 밝혔다. 이정선 교육감의 이 같은 입장은 여론조사 신뢰 논란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현직 교육감의 공개적 거부 선언이라는 점에서 파장이 예상된다.
이보다 앞서 정성홍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장과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도 성명을 내고 “교육과 무관한 정치적 인물의 이름을 여론조사용 경력에 사용하는 행위는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두 예비후보 역시 “지지율이 정치적 상징성 하나로 극단적으로 요동치는 상황은 교육 정책 논의보다 정치 프레임에 좌지우지되는 현실을 보여준다”며 교육의 정치화에 우려를 표했다.
최근 5차례 광주시교육감 출마 예정자 대상 여론조사에서는 김용태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장이 ‘노무현재단 광주 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 지지율이 최고 21%에서 최저 6%까지 변동해 1위와 4위를 오가는 결과가 나왔다. 이 여론조사 결과를 둘러싸고 각 진영은 조사 방식과 결과의 공정성, 신뢰성 문제를 두고 팽팽히 맞서는 분위기다.
한편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교육감 선거에 있어 정치적 상징의 활용이 교육 본질을 위협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교육계 인사 경력을 넘어 정치적 상징성을 앞세우는 구조가 강화될 경우, 교육 정책 공약의 실질적 평가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광주시 교육감 선거를 둘러싼 공정성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정치권과 교육계는 향후 여론조사 방식 개선, 후보 경력 표기 기준 마련 필요성을 두고 더욱 치열한 대립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