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4천300만명 위장약 처방”…백종헌 의원, 불필요한 관행 처방에 개선 촉구

조현우 기자
입력

정치적 충돌 지점이 국회에서도 불거졌다.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부산 금정,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은 지난해 전국적으로 4천300만여명이 위장약을 처방받았다고 밝히며 관행적 처방에 경종을 울렸다. 전국민의 84%가 위장약 처방을 받은 것으로, 약물 처방 환자 중 91%를 차지하는 수치다.

 

백종헌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소화 기관용 의약품(위장약) 처방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4년도 위장약 약품비는 2조159억원으로, 이는 2019년 대비 33.3% 증가한 금액이다. 같은 기간 위장약 처방량도 17.9% 뛰면서 1인당 연평균 165정이 처방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 해 200정 이상 위장약을 처방받은 환자가 전체의 19.9%에 달했고, 이들의 평균 처방량은 약 650정에 이르렀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 의원은 "감기나 호흡기 질환 치료 시 위장관 부작용 예방 필요성이 있지만, 실제로는 관행적이고 자동적으로 동반 처방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호흡기계 환자 3천329만명 중 82.5%인 2천746만명이 위장약을 처방받았으며, 같은 기간 소화기계 환자 1천577만명 중에는 78.7%인 1천241만명만이 해당 처방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호흡기 환자군에게 오히려 위장약 처방률이 더 높았다.

 

정치권에선 반복된 관행적 처방 관례가 국민건강보험 재정 건전성을 흔든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백종헌 의원은 "불필요한 동반 처방을 줄이고, 위장약이 꼭 필요한 환자에 한해 적정 용량이 처방되도록 원칙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위장약 관행 처방 문제를 두고 이견을 드러냈으며, 여야 모두 보건의료 현장의 낡은 처방 관습을 점검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국회는 위장약 처방의 엄격한 기준 마련을 당정 논의와 함께 이어갈 방침이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백종헌#위장약#국회보건복지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