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80% 점유율로 시장 장악”…AI 챗봇 경쟁, 독점 우려와 규제 논쟁
현지시각 기준 9월 6일, 글로벌 인공지능(AI) 챗봇 시장 분석 결과에서 오픈AI(OpenAI)의 챗GPT(ChatGPT)가 80%를 넘는 점유율로 거대 지배력을 확인했다. 테크레이더(TechRadar)가 인용한 스탯카운터(StatCounter)의 2024년 7월~2025년 8월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웹사이트 이용량 5분의 4 이상이 챗GPT에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시장 집중 현상은 AI 산업에 파급력 있는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챗GPT의 점유율은 2025년 4월 84.2%까지 정점을 찍은 후에도 80%대의 압도적 우위를 이어갔다. 반면, 경쟁사인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실시간 데이터 통합 등 차별화에도 불구하고 3월 14.1%에서 8월 9.0%로 점유율이 하락하며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올해 가장 주목받은 변화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코파일럿(Copilot)이다. 윈도우 및 오피스와의 깊은 결합 전략이 주효해, 5월 첫 5%대를 돌파한 뒤 여름 내내 4~5%대 점유율을 유지하며 퍼플렉시티와 함께 2위권 경쟁에 진입했다. 이밖에도 구글(Google)의 제미니(Gemini)는 3%대에 머물렀으며, 딥식(Deepseek)이 소폭 상승해 8월 2.7%를 기록했다. 앤트로픽(Anthropic)의 클로드(Claude)는 1.2%를 넘지 못해 변방에 머물렀다.
이 같은 시장구도는 겉으로는 다양한 서비스가 경쟁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챗GPT 쏠림이 심화된 과점 체제를 보여준다. 투자자와 업계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챗GPT의 시장 지배력이 한층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중기적으로는 코파일럿이 기업 시장을 장악하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고, 장기적으로는 개인정보 보호와 기술 표준화 및 각국의 규제 도입 여부가 구조적 판도를 가를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 등 해외 주요 매체도 챗GPT 중심의 시장 재편과 기술 리더십이 글로벌 정보생산·교육·비즈니스 활용 패러다임을 바꿔놓았다고 평가했다. 다만, 특정 기업의 과점화가 AI 산업의 혁신 저해와 위험 집중 현상을 야기할 것이란 비판 여론과 규제 필요성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챗GPT 중심의 독주 체제가 일정 기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면서, 경쟁업체들의 기술 차별화와 각국의 규제 대응, 데이터 민주화가 중장기적 균형 변수라고 지적했다. 글로벌 AI 챗봇 시장의 권력 구조 변화가 산업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