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뇌 효소 억제해 회복 신호 강화”…IBS, 척수손상 치료 새길 연다
IT/바이오

“뇌 효소 억제해 회복 신호 강화”…IBS, 척수손상 치료 새길 연다

박선호 기자
입력

뇌 효소 마오비(MAOB)의 억제가 척수손상 회복을 가로막는 분자신호를 차단하는 핵심 열쇠로 밝혀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이창준 단장팀은 별세포(astrocyte)가 분비하는 억제성 물질 ‘가바(GABA)’가 손상 부위의 기능 회복을 차단하는 주범임을 규명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마오비 효소가 척수 내 별세포에서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 가바가 과도하게 생성돼 신경성장인자(BDNF) 신호 전달을 억제, 신경섬유 재생과 운동기능 회복을 막는 분자 기전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척수손상의 근본적 재생 치료제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IBS팀은 실제 손상된 척수 동물모델에서 마오비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활성화한 결과, 마오비 억제 그룹의 신경섬유 재생률과 뒷다리 운동 기능이 뚜렷하게 향상됐음을 확인했다. 특히 특이적으로 설계된 마오비 억제제 KDS2010을 투여한 동물은 보행 능력, 신경섬유 재형성 등 다수 지표에서 기존보다 뛰어난 회복 효과를 보였다. 연구진은 이 약물이 척수의 별세포에서 마오비-가바 경로를 막아 신경 성장 신호(BDNF-TrkB)를 복원한다고 해석했다.

별세포 장벽(glia barrier)은 척수 손상 직후 주변 조직을 보호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뇌와 신경의 회복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된다. 기존 치료법은 이 장벽의 형성만 막거나 염증을 억제하는 데 그쳤으나, IBS팀 연구는 성장신호 차단의 분자경로를 표적으로 삼은 점에서 차별화된다. 실제 손상 부위에 KDS2010을 투여한 영장류에서도 신경 조직 보존 및 수초(myelin sheath) 형성 증가 등 회복 효과가 재현됐다.

 

글로벌 신경계 치료제 시장에서는 미국, 유럽 기업들도 다양한 분자 타깃 기반 재생치료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마오비-가바 경로 차단의 척수 재생효과와 임상 1상(성인 건강인 대상) 안전성까지 입증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뉴로바이오젠 등 국내 협업체계를 기반으로 척수손상 동물, 영장류, 인간(임상 1상)까지 다각 검증을 완료한 것이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척수손상 분야의 근본치료제 진입은 식약처 및 글로벌 규제기관의 축적된 기전 데이터, 안전성·유효성 확보가 관건이다. KDS2010은 이미 1상에서 우수한 내약성이 확인된 만큼, 연세대 연구팀을 중심으로 2상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 규제 전문가는 “재생신경치료제 출시에 필요한 안전성·효과 검증,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판정이 병행돼야 시장 진입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술이 손상 후 신경재생의 분자적 원인 차단에 성공한 점, 건강한 성인 대상 임상 1상이 마무리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하윤 연세의대 교수는 “KDS2010의 안정성이 확인됨에 따라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상으로 치료효과를 직접 검증할 계획이며, 마오비-가바 경로가 뇌·척수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확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척수손상 근본치료에 도전하는 신약 여정이 실제 임상효과와 규제벽을 넘어 상용화까지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결국 기술의 속도보다, 생명윤리와 제도·산업 구조 전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ibs#마오비#kds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