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에 지속가능 숲 조성”…유한양행, 글로벌 산림복원 협력 확대
유한양행이 몽골에서 산림 복원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협력 체계를 본격 가동하며, 바이오산업계의 사회적 역할 확대에 나서고 있다. 몽골 사막화 방지와 산불 피해지 복원을 위한 ‘몽골 숲 조성 사업’은 현지 정부 및 국제기구, 시민사회와의 협업을 통해 과학적 기반의 산림 관리 체계를 정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업계는 이번 프로젝트가 환경 경영의 실질적 실행 모델로서, 생물다양성 보전 및 기후위기 대응 역량 부문에서 새 변곡점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유한양행은 지난달 30일 몽골 바트숨베르 지역 몽골국립대학교 연습림 관리소에서 현지 산불 피해지 복원 및 숲 조성사업 공식 론칭 행사를 개최했다. 이는 지난 8일 서울에서 몽골 정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현지 NGO 빌리언트리스와의 업무협약 체결 이후 실행에 옮긴 첫 현장 활동이다. 행사에 앞서 몽골 환경기후변화부와 긴밀히 협력 방안을 논의, 산림 생태계 복원을 위한 국가·민간·학계 연합의 틀을 마련했다.

기술적으로는 몽골국립대학교와의 공동 연구를 바탕으로 토양 환경을 정밀 조사하고, 지역에 적합한 활엽수종을 선정하는 방식이 도입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 단순 식재 활동의 한계를 벗어나 체계적 생태복원 전략을 적용한다. 특히 토양 데이터, 기후 변수, 생물종 분포 등 과학적 지표를 기반으로 산림관리의 장기적 효과와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사업의 핵심이다. 유한양행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질 실현을 위해, 현지 주민 참여와 과학 기반 복원을 결합한 모델을 추구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환경 캠페인을 넘어, 바이오 및 제약산업계에서 요구되는 ‘녹색경영’과 글로벌 기후 이슈 대응의 교차지점에 위치한다. 향후 바이오기업의 국제 협력 ESG 경영 확산, 보호종·의약원료 등 생물다양성 가치 활용 등으로 연계될 전망이다. 해외에서는 PCRI 등 글로벌 산림복원 프로젝트와 비교해 지역 맞춤형 과학적 복원 전략이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몽골 정부의 산림정책·기후변화대응법 등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향후 국제적 규범 준수와 인증 확대도 추진된다.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등 국제기구와의 공조를 강화하며, 생태계 보전과 이산화탄소 흡수량 증대 등 환경적 효과의 계량화도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조민철 유한양행 ESG경영실장은 “몽골 숲 조성 사업은 국경을 초월한 기후위기 대응의 실질적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가능한 미래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을 위해 다양한 파트너십을 확장해가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모델이 바이오기업 ESG경영의 글로벌 기준을 선도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