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프트 약혼 소식에 투자심리 고조”…미국 보석업체 주가 상승세, 소비 트렌드 변화 촉발
현지시각 26일, 미국(USA) 뉴욕증시에서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와 미식축구 선수 트래비스 켈시의 약혼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표 보석업체 ‘시그넷 주얼러스’의 주가가 장중 3% 이상 오르는 등 시장의 관심이 쏠렸다. 이번 사건은 SNS에서 공개된 약혼 사진이 단시간 내 1,400만 건이 넘는 ‘좋아요’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온라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면서 투자심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스위프트 팬덤의 높은 소비력과 ‘특별한 반지’에 대한 수요가 증시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스위프트는 인스타그램에 트래비스 켈시와 손을 맞잡고 약혼반지를 공개하는 사진을 올려 전 세계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공개 이후 온라인에서는 반지 브랜드와 디자인을 놓고 문의가 쇄도하며, 업계 전문가들은 해당 반지가 ‘쿠션 컷’ 스타일이라고 분석했다. 소비자들은 해당 스타일의 반지와 비슷한 제품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위프트의 경제적 영향력은 이미 수차례 입증됐다. 공연이 열리는 도시마다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던 ‘테일러노믹스’ 현상은 2023년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의 베이지북에 공식 언급되기도 했다. 결혼과 약혼 등 사생활 뉴스조차 주가, 시장 심리, 소비재 트렌드에 파급력을 가진 스타의 선례로 꼽힌다.
SNS에서는 스위프트와 켈시의 약혼 발표가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Meta)는 이번 게시물이 공개 6시간만에 100만 건 이상의 리포스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메타 측은 “인스타그램 역사상 가장 많이 공유된 게시물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같은 시기 스위프트는 ‘스레드’ 플랫폼에서도 최상위 화제 키워드로 올랐다.
시장 전문가들은 “보석업체 주가 상승이 스위프트 팬들의 소비 여력과 연동돼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스타와 대중 소비문화가 산업군 전체에 미치는 구조적 효과에 주목했다. 또한, SNS에서의 확산이 추가적인 소비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거론했다.
스위프트의 영향력은 음악 등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전방위로 확장되고 있다. 2022년 ‘미드나잇츠’ 앨범으로 스포티파이 하루 최대 스트리밍 기록을 달성한 데 이어, 최근에는 미식축구(NFL) 시장에도 영향이 미치고 있다. 트래비스 켈시가 소속된 캔자스시티 치프스의 경기 관람객과 유니폼 판매, NFL 중계 시청률 상승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업계 관계자들은 “SNS에서 발생한 자발적 소비 확산이 업종 주가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며, “앞으로 연예·소비재 기업들은 초대형 인플루언서의 파급효과를 면밀히 관찰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투자자들 역시 스타와 소비 트렌드의 연계성을 새로운 투자지표로 삼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대형 인플루언서의 파급력이 증명되면서, 스타와 기업의 협업, 팬덤에 기반한 소비가 산업 구조 자체에 중요한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소비재 및 금융 시장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