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이하늬 시선 잡은 말 위 질주”…이해영 ‘애마’, 80년대 통념 부순 압도→여성 서사에 흔들린다
엔터

“이하늬 시선 잡은 말 위 질주”…이해영 ‘애마’, 80년대 통념 부순 압도→여성 서사에 흔들린다

강예은 기자
입력

아시아영화제에서 주연상을 품고 귀국한 정희란은 화려한 조명 아래서도 언젠가 돌이킬 수 없을 날개짓을 예감하는 듯했다. 넷플릭스 시리즈 ‘애마’는 그러한 기대와 불안, 긴장과 깨달음이 맞서는 순간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이해영 감독 특유의 재치와 비틀림 가득한 시선이 1980년대 여성 서사의 미로를 새롭게 수놓았다.

 

‘애마’는 실존 ‘애마부인’ 시리즈의 이름을 빌려 당대 한국 영화계와 여배우의 일그러진 현실을 다층적으로 가시화했다. 곽인우 감독(조현철)과 정희란(이하늬)의 팽팽한 신념 충돌, 신성영화사 대표 구중호(진선규)의 욕망과 작가주의 감독 권도일(김종수)의 비틀린 예술혼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졌다. 에로영화 현장의 숨겨진 ‘공사’ 장면, 노출 강요가 일상이던 촬영장, 무엇보다 남성 권력자들의 암묵적 폭력까지, 현실과 허구를 뒤섞은 팩션이 힘을 더했다.

이하늬 시선 잡은 말 위 질주”…이해영 ‘애마’, 80년대 통념 부순 압도→여성 서사에 흔들린다
이하늬 시선 잡은 말 위 질주”…이해영 ‘애마’, 80년대 통념 부순 압도→여성 서사에 흔들린다

밤무대 댄서 신주애(방효린)가 오디션을 통해 영화계로 뛰어드는 과정은 화려함 뒤에 도사린 고난과 생존의 몸부림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구중호는 정희란을 한 편의 조연에 머무르도록 만들고자 계략을 꾸몄다. 그러나 희란은 노출 요구를 단호히 거부하며 고정관념을 정면으로 넘어서고자 했다. 신주애에게도 영화는 인생 역전의 희망이자, 뼈아픈 시험대였다. 두 여성은 끝내 불평등의 벽을 예술혼으로 돌파하며 동지애를 쌓아갔다.

 

후반부는 군부 정권 하의 억압적 분위기와, 성 상납을 막아내는 정희란의 단호한 행동으로 긴장감을 높였다. 현실의 모순 앞에서 ‘애마’가 선택한 방식은 치열한 저항이 아니라, 말을 타고 도망치는 기상천외한 판타지적 장면이었다. 이 기막힌 난센스와 과감한 유머는 오히려 가슴 먹먹한 시대의 진실을 더욱 또렷이 증폭시켰다.

 

여성 배우에 대한 낡은 시선과 착취를 유머와 풍자로 뒤집으며, ‘애마’는 6부작 내내 완성도 높은 미장센과 밀도 높은 스토리텔링을 견인했다. 이해영 감독은 예술과 생존, 꿈과 현실의 교차점에 선 여성들을 통해 용기와 연대를 노래했다. 삶의 곡진함을 딛고 끝내 예술을 지키고자 했던 여성들의 투혼이 올 여름, 한국 콘텐츠에 묵직한 각인을 남겼다.

 

‘애마’는 OTT 서비스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 중이며, 총 6부작의 짜임새 있는 서사와 미장센으로 1980년대 연예계의 이면을 신랄하게 재현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애마#이하늬#이해영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