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국가검진화 논의 본격화”…전문의, 조기 선별 필요성 제기
전립선암 선별검사 정책이 급속히 산업적·의료적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남성암 중 발병률 증가가 두드러진 전립선암이 올해 국가암통계에서 남성암 1위에 오를 전망인 가운데, 대한비뇨의학회가 12월 29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전립선암 국가암검진화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연다. 업계와 의료계 모두 이번 정책 논의가 남성암 관리 패러다임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본다.
간담회에서는 다년간의 임상 경험과 거시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직화된 PSA(전립선특이항원) 선별검사의 도입 방안이 심도 있게 다뤄진다. 국내 전립선암은 서구 국가 대비 고위험·고병기 환자 비율이 높아, 암 조기발견의 임상적·경제적 순편익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특히 검진 기회의 균등화가 의료격차 해소와 사회·경제적 부담 완화로 이어질지, 능동적 감시(Active Surveillance) 등 과잉진단·과잉치료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방안도 주요 쟁점이다.

PSA 선별검사는 혈액 내 특이단백질 농도를 분석해 이상 신호를 조기 포착하는 기법으로, 해외에서는 암 사망률을 유의하게 낮춘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타국 사례처럼 과잉진단 논란에 대응해, 검진 시작·종료 연령 기준과 주기, 후속관찰체계 등 국내현실에 맞는 정책 설계 역시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는 PSA 스크리닝 가이드라인을 수차례 개정하며 현실적 균형점을 모색해왔고, 한국 역시 검진제도 설계의 시급성이 부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PSA 선별검사의 국가제도화는 남성암 정책의 새로운 전환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국가 의료재정, 데이터 기반 관리체계, 질 관리 프로토콜 수립 등 실효성 검증도 지속적으로 요구될 것”이라 내다봤다.
산업계와 의료계는 다층적인 논의 끝에 마련될 이번 정책 제언이 전립선암 검진체계의 제도적 전기(轉機)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제도, 공중보건의 균형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