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캄보디아행 고수익 알바 의심”…박찬대, 출국 직전 10대 보호·안내체계 강화 촉구

송다인 기자
입력

고수익을 미끼로 한 해외 취업 사기 의혹에 10대가 노출되는 현장이 인천국제공항에서 포착됐다. 핵심 인물 및 기관인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과 대한항공이 직접 대응에 나서며 출국 직전 10대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안내체계 강화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7일 박찬대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대학생 A씨(18)가 캄보디아 프놈펜행 항공기에 탑승하려다 대한항공 탑승수속팀 서비스 매니저 박진희씨 등 항공사 직원의 지속적인 설득으로 출국을 포기하고 귀가했다. 당시 A씨는 비상여권과 편도항공권만 소지하고 있었으며, 항공권 예약 정보에는 '+86'로 시작하는 중국 전화번호가 입력돼 있어 항공사 측에서 여행 목적을 추가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됐다.

특히 프놈펜이 외교부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A씨는 '초등학교 때 친했던 친구가 캄보디아로 놀러오라고 해 잠시 갔다 오려는 것'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그러나 대한항공은 왕복 항공권이 없을 경우 출국이 제한된다는 방침을 안내했고, 이 과정에서도 직원 측의 적극적 설득이 이어졌다. A씨는 갈등 끝에 스스로 안내데스크로 이동해 112 신고 접수를 요청했다.

 

경찰은 현장에서 A씨가 보복을 당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주민등록 말소, 은행 계좌 정리 등 조치 방안을 안내했다. 경찰이 면담하는 사이, A씨 휴대전화로는 출국을 서두르라는 협박성 전화가 걸려와 상황의 심각성이 더해졌다.

 

박찬대 의원실은 15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각 여행사에 ‘캄보디아행 출국자 위험상황 안내’ 공문을 보내 관련 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찬대 의원은 “항공사 직원들의 세밀한 관찰이 한 청년을 해외 취업 사기에서 구한 결정적 사례”라며 “공항·항공사·여행사 역시 출국 직전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선제적으로 안내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러한 대응은 정부·국회 차원의 제도적 보완 필요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항공사, 공항, 여행사 등 민간 협조체계 강화와 더불어, 청소년 대상 출국 사기 피해 예방 정책이 사회적 과제가 됐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경찰과 국토교통부, 외교부가 협업을 통해 공항 현장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문이 커지고 있다. 박찬대 의원 역시 “은행에서 보이스피싱을 차단하듯 최일선 현장에서 리스크 예방 노력이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는 향후 유사 사건 재발 방지와 보호매뉴얼 정비에 대한 논의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박찬대#대한항공#캄보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