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삿돈 48억원 횡령 혐의”…김건희 ‘집사’ 김예성 구속기소, 특검 수사 본격화
‘집사게이트’ 의혹을 둘러싸고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관계자들이 정면 충돌했다.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IMS모빌리티 대표가 29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특경법) 횡령 혐의로 구속기소되며, 수사가 정국 격랑으로 번지고 있다. 김예성씨는 회삿돈 48억원을 빼돌린 정황이 드러나 법정에 서게 됐으며, 특검은 김건희 여사와의 연관성 여부를 추가로 겨누고 있다. 사건이 확대되는 가운데 정치권의 반응도 점차 뜨거워지고 있다.
박상진 특검보는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피의자 김예성에 대해 특경법상 횡령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IMS모빌리티 조영탁 대표와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 민경민 대표 등 관계자들에 대해서도 배임, 횡령, 증거은닉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김예성에게 적용된 횡령 액수는 48억원으로, 당초 33억원보다 증가했다. 아울러 IMS가 투자받은 184억원 중 46억원이 김예성 지인 회사인 이노베스트코리아로 유입됐고, 여기서 24억3천만원이 김씨를 거쳐 다시 조영탁 대표에게 전달된 것으로 드러났다.

정치권 안팎에선 ‘집사게이트’가 단순 횡령을 넘어 권력형 비리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경찰·사법기관뿐 아니라 여야 모두 특검의 다음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다만 김씨 연루 의혹과는 달리, IMS가 184억원을 부정하게 투자받았다는 배임 혐의는 아직 공소장에 담기지 않았다. 이와 별개로 특검은 조영탁 IMS모빌리티 대표가 순자산보다 부채가 월등히 많은 자본잠식 상태에서 대형 투자 자금을 유치한 배경, 투자사와 김건희 여사 측과의 연결고리에 수사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정당별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일부 야당 인사들은 “권력 최측근을 둘러싼 부패수사라는 점에서 특검 수사의 성역 없는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며, 여당은 “사실관계와 법적 판정이 우선”이라는 신중론을 고수하고 있다. 시민사회에서도 “공적 투자와 권력 측근의 유착 의혹을 반드시 밝혀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향후 특검팀은 김예성씨 추가 소환 조사를 예고하며 자금 흐름 추적을 본격화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김건희 여사 가족과 친인척에 대한 수사 확대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 이날 국회는 특검 수사 과정의 공정성과 정치적 파장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특검의 추가 기소 및 윗선 수사 돌입이 향후 정국의 향배를 좌우할 고비가 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