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자체 AI ‘MAI-1’로 전환 가속”…오픈AI 의존 축소 신호와 시장 변화 촉발
현지시각 28일, 미국(Microsoft 본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가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MAI-1’의 첫 공개 테스트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오픈AI(OpenAI) 의존도 해소와 MS AI 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대한 전략 전환으로, 글로벌 IT업계에 즉각적인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독자 AI 생태계 구축 움직임이 본격화되며, AI 산업 내 동맹과 시장 판도 재편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MS AI사업부 수장 무스타파 술레이먼 CEO는 “MAI-1-프리뷰는 MS 내부에서 처음부터 자체 개발·훈련한 첫 ‘파운데이션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MAI-1은 엔비디아(Nvidia) H100 칩 1만5천 개를 투입해 훈련됐으며, 텍스트 기반 AI로서 MS의 코파일럿(Copilot) 서비스 보조와 운영비 절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론 머스크(Elon Musk) xAI의 그록(Grok) 등 경쟁 모델과 비교되지만, 효율적 자원 운용과 성능 최적화가 특징이다. 이날 동시에 공개된 AI 음성 모델 ‘MAI-Voice-1’은 1초 내 1분 분량 오디오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활용도가 강조된다.

MS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번 모델이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외부 기술의 적극 도입으로 개발되었음을 밝혔고, 곧 코파일럿에 탑재돼 실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선이 이어질 것이라 예고했다. MS의 자체 AI 모델 공개는 장기간 이어진 오픈AI 의존을 벗어나, 기술 주도권 확보와 비용 효율성 증진을 겨냥한 행보로 해석된다. 그간 MS는 오픈AI에 13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인프라를 제공해왔으나, 최근 오픈AI 또한 코어위브(CoreWeave), 구글(Google), 오라클(Oracle) 등 타사 클라우드 활용을 확대하면서 양사 간 미묘한 경쟁 기류가 조성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AI 국제 경쟁 구도에 직간접 영향을 주고 있다. 무스타파 술레이먼 CEO는 “엔비디아 ‘블랙웰’ 칩 ‘GB-200’이 적용된 세계 최대급 데이터 센터에서 차세대 AI 모델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 등 주요 매체는 “MS 자체 AI 모델 개발은 글로벌 시장에서 오픈AI와의 전략적 거리 두기의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BBC와 로이터 등은 “IT공룡 간 협력과 경쟁이 혼재하며 AI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MS 행보가 향후 오픈AI, 구글, 아마존, 메타 등과의 초격차 경쟁 심화, AI 인프라 시장 분화 촉진, 클라우드 및 AI 생태계의 지형 변화 등 복합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 동시에, 투자자들은 단순 파트너십을 넘어선 자체 AI 역량 강화가 증시와 기술혁신 흐름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앞으로의 협력 구도와 AI 경쟁 질서 재편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