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한미 UFS 연습 종료”…합참, 연합 전영역 대응능력 강조 속 北 도발 맞불
정치

“한미 UFS 연습 종료”…합참, 연합 전영역 대응능력 강조 속 北 도발 맞불

강다은 기자
입력

한반도 안보 지형을 둘러싸고 합동참모본부와 북한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한국과 미국의 연례 연합 훈련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가 28일 공식 종료된 가운데, 연습 기간 동안 북한이 지대공미사일을 발사하고 군사분계선을 월선하는 등 도발에 나서며 양측 간 긴장감이 고조됐다.

 

18일부터 28일까지 시행된 올해 UFS 연습은 육해공, 우주, 사이버, 정보 분야 전 영역에서 연합과 합동 작전이 전개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합동참모본부 및 한미연합군사령부는 현실적 위협 분석을 바탕으로 한 훈련 시나리오를 적용했으며, 회원국을 포함한 다국적 군도 참여했다. “한미동맹의 굳건한 방어 태세를 재확인하고, 도발 억제와 방어능력을 입증했다”는 한미연합군사령부 설명이 나왔다.

특히 이번 연습에는 대한민국 정부, 민간기관, 긴급 대응 인력까지 참여해 위기관리와 민간인 보호절차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주한 미 8군과 대한민국 육군은 광범위한 지상 연합훈련을 통해 상호운용성 및 전투 준비 태세를 강화했다. 주한 미 제7공군과 대한민국 공군은 수천 회에 걸친 출격과 항공 자산 통합 운용을, 우주군은 우주작전단 협력에 주력했다.

 

해병대와 해군 또한 해상 대특수작전부대훈련, 기동훈련 등 전방위 작전을 펼쳤다. 특수전사령부 역시 대량살상무기(WMD) 대응과 직접 타격훈련, 특수정찰 능력 숙달에 나섰다. 합참은 “연합·합동 전영역 작전을 포함한 동맹의 대응능력과 태세를 굳건히 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올해 계획됐던 40여 건의 야외기동훈련 중 절반 수준인 20여 건은 폭염 등의 사유로 다음 달로 연기됐다. 군 안팎에서는 북한의 연합훈련 반발 등 긴장 고조도 일정 조정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해석이 이어진다.

 

연습과 맞물려 북한의 도발과 비난도 이어졌다. 23일 북한은 신형 지대공미사일 시험 사격을 단행했고, UFS 연습을 “도발적이고 침략적인 대규모 실전연습”, “명백한 전쟁의지의 표현”이라고 연일 비판했다. 19일에는 북한군 일부가 비무장지대 내 군사분계선을 넘는 사건도 있었다.

 

이에 주한미군 관계자는 “UFS는 방어적이고 정례적인 훈련”이라며 북한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국내 정치권과 군사전문가 사이에서는 한미동맹의 유기적 대비태세를 확인한 동시에, 북한의 군사적 맞대응 격화가 한반도 안보 환경의 불확실성을 드러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정부 부처와 연계해 전시대비연습을 강화했다고 밝히며, 향후 진행될 추가 야외기동훈련과 동맹 수준의 연합 작전수행 능력 점검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북측의 도발 및 군사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정부는 관계 부처와의 협의 하에 지속적인 대비 전략을 점검할 계획이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합참#한미연합군사령부#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