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복구에 261억 추가”…정부, 대구센터 클라우드 이전 속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대규모 전산망 장애 복구 작업이 클라우드 전환을 중심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는 11일 국무회의를 통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 및 대구센터 민관협력존 이전을 위해 261억원의 예비비 지출을 새롭게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21일 대규모 전산장비 교체와 긴급 기반 시설 보수 등 1521억원 규모의 1차 예비비 지원 결정에 이은 후속 대응이다.
추가 예비비에는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기후에너지환경부, 소방청 등 핵심 4개 부처의 정보 시스템 15개를 클라우드(Cloud Computing, 인터넷 기반 온디맨드 자원 제공) 방식으로 전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196억원이 책정됐다. 이 클라우드 전환은 기존 온프레미스(자체 보유 서버) 구조 대비 신속한 복구와 높은 탄력성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미 공무원 전용 내부 클라우드 'G-드라이브' 시스템은 앞서 예비비 지원이 결정된 바 있다.

나머지 65억원은 개별 정부 부처가 전산망 복구 과정에서 자체 예산으로 충당이 어려운 비용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 정부는 민관협력존(PPP·Public Private Partnership)으로의 대구센터 이전과 맞물려 정부 각 부처의 핵심 서비스가 신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이용료 등 실비 보전을 강화했다.
지난달 대형 화재 사고로 중단된 정보 시스템은 총 709개에 달했으나, 현재 689개(97.2%)가 정상화된 상태다.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의 IT 인프라 복구를 위한 민관 공조와 클라우드 전환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선진국 역시 데이터센터 사고 대처와 신속 복구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 리던던시(중복성)와 분산 처리를 강화해 왔다.
정책적으로는 정보보호, 데이터 백업 및 장애 대응 매뉴얼 강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대구센터로의 이전과 클라우드 전환을 포함한 복구 작업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국가 IT 인프라의 회복력 제고와 신기술 확산이 시장 구조 재편의 계기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기술적 대응과 제도적 보완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산업 체질 개선이 뒤따를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