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초개인화 혁신”…플리토, 비전 2.0 선포 글로벌 도약 신호
AI 데이터 자동화 기술과 초개인화 솔루션이 기업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AI 데이터 및 솔루션 전문 기업 플리토가 28일 창립 13주년을 맞아 ‘플리토 2.0’이라는 새 비전을 선포하며, 데이터 정제 자동화와 초개인화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AI 데이터 플랫폼 기업간 ‘맞춤형 경쟁’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플리토는 이날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플리토 퍼스트 미디어 인사이트 데이’를 개최하고, 지난 13년간의 고품질 데이터 축적 경험과 글로벌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데이터 정제 및 초개인화 전략을 공개했다. 이정수 대표는 ‘AI 시대 진입 이후 번역 품질과 데이터 신뢰성의 기준이 달라졌다’며, 자체 정제·고도화된 데이터 기반의 AI와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본격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술적으로 플리토는 데이터를 단순 수집·가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AI가 자체적으로 사용자 발화 스타일을 학습·정제해 실시간 번역 정확도와 교정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4분기 연속 흑자 기조, 42개국 언어 동시 지원, 관광·의학 등 도메인 특화 번역” 등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입증된 신뢰성이 주목받는다. 특히 이번에 발표된 초개인화 기능은 반복 사용 시 개인화 수준이 더 정밀해지는 ‘AI 온 디맨드 데이터 정제’ 원리를 적용해, 기존 통상적 번역 엔진과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창출에 방점을 찍는다.
플리토는 이미 국내 데이터 기업 중에서 드물게 메타·APEC·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대상으로 솔루션을 공급해 왔다. 이는 AI 빅데이터, 통번역, 도메인 특화 언어 데이터 등 기업·기관용 고도화 서비스가 실제 산업 현장과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업계에서는 ‘번역 품질-고객 데이터 신뢰-도메인 별 맞춤화’의 연결고리를 확보한 것이 글로벌 경쟁사의 벽을 낮추는 열쇠로 보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AI 데이터 강국 중심의 초개인화 경쟁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미국, 유럽, 중국 빅테크 기업들도 최근 맞춤형 AI 음성·번역 시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플리토는 이 흐름에 발맞춰 도메인 특화, 데이터 자동화, 고객 중심의 서비스 혁신 전략을 내세우며 차별화 포지셔닝을 강화 중이다.
정책적으로는 데이터 3법 개정, AI 데이터 활용 윤리·법제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플리토는 데이터 신뢰성과 개인정보 보호, 투명한 데이터 처리 절차 등 글로벌 데이터 준수 체제 확보에 힘쓰고 있음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초개인화 데이터 기술의 상용화가 글로벌 AI 번역·데이터 시장 재편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이번 플리토의 비전 2.0이 국내외 시장에 실제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산업, 데이터 활용 구조가 얼마나 빠르게 맞물리느냐가 향후 경쟁 구도를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