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억제와 긴장완화 투트랙”…안규백, 서울안보대화서 북핵 대응 강조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군사적 긴장과 북핵 위협을 두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세계 각국의 안보 수장이 맞붙었다. 북핵·미사일 위협 고도화에 강력한 억제와 대비태세가 강조되는 가운데,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이 새로운 평화구축의 열쇠로 부상하고 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서울안보대화’ 개막식에서 “강력한 억제력과 빈틈없는 대비태세를 바탕으로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병행하는 투트랙 접근을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핵·미사일 위협의 고도화는 한반도와 역내의 평화, 글로벌 비확산 체제에 중대한 도전”이라며 “전략적 억제와 방어, 대응 능력은 한 치의 빈틈도 없이 강화하되, 군사적 긴장 완화와 위험관리 메커니즘의 현대화를 위해 대화의 문을 항상 열어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이어 “강한 힘으로 평화를 만들고, 진정성 있는 대화로 지속 가능한 평화를 구축하겠다”며 “위기의 악순환을 끊고 평화의 기회를 열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축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평화는 우연히 오지 않는다. 평화는 치밀하게 설계돼야 하고, 약속은 지속적으로 재확인되고 이어져야 한다”며, “대화를 통해 상호 불신을 줄이고 위험관리를 위한 실질적 메커니즘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서울안보대화에는 68개국 및 국제기구에서 1천여 명의 안보 관련 인사가 참석했다. ‘지정학적 도전의 극복: 협력을 통한 평화구축’이라는 대주제 아래, 첫 세션에서는 ‘지정학적 경쟁 완화와 전략적 안정 회복’을 주제로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그리고 국제사회의 도전과 해법을 집중 논의했다.
주세페 카보 드라고네 나토(NATO) 군사위원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러 군사협력 등 지정학적 불안정성이 심화하는 가운데, 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파트너국들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길베르토 테오도로 필리핀 국방장관 역시 “인도·태평양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규범 기반 국제질서에 대한 도전이 심화하는 현실”을 지적하며, 국제기구의 적극적 노력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반 아누쉬치 크로아티아 부총리 겸 국방장관은 “유럽연합 및 나토 회원국으로서 크로아티아의 군 현대화 노력을 소개”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대한민국과의 협력 중요성에 주목했다.
정치권 안팎에선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이날 서울안보대화를 통해 대화와 억제라는 투트랙 전략을 재확인한 데 대해, 북한의 군사적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신뢰구축과 평화유지에 대한 현실적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외교 전문가들은 북·러 군사협력이 국제사회 전체의 안보지형에 파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중장기적 다층 협력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편,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한 서울안보대화는 2012년 첫 개최 이래 아시아의 대표적 고위급 다자안보협의체로 자리매김했다. 국방부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전략적 소통과 신뢰구축 플랫폼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