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에 스테이킹 도입 검토”…리플, 보상 구조 전환 논의에 시장 촉각
현지시각 기준 2025년 11월 20일, 가상자산 전문매체 비트코인월드(bitcoinworld)는 리플이 리플 XRP(XRP) 네트워크에 스테이킹 기능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논의는 XRP 보유만으로는 제공되지 않던 보상 구조를 네트워크 참여 기반 모델로 바꾸려는 움직임으로,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리플X 엔지니어링팀을 이끄는 제이 아요 아킨예일레(J. Ayo Akinyele)는 XRP 원장(XRPL)에 스테이킹 기능을 적용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 현 구조에서 XRP는 다른 주요 가상자산처럼 전통적인 지분증명(PoS) 스테이킹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으며, 이용자는 단순 보유 외에 네트워크 보상에 직접 참여하기 어렵다. 리플 측이 검토 중인 모델은 합의 유지와 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한 참여자에게 보상을 분배하는 방향으로 요약된다.

이 같은 논의는 XRP 생태계의 장기 보유 유인을 강화하고 보안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설명된다. 네트워크 참여자가 늘어나면 검증 노드와 합의 구조가 보다 분산되고, 그 과정에서 디파이(DeFi) 등 온체인 활용도가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가 깔려 있다. 일부 관측은 스테이킹 도입이 XRP의 잠재 수요를 자극해 장기적으로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XRP 원장은 출범 초기부터 효율성과 속도를 중시한 특수 합의 구조를 채택해 왔다. 전통적인 PoS 체계와 설계 철학이 달라, 스테이킹 기능 도입은 단순한 옵션 추가가 아니라 합의 구조 조정과 토큰 경제 개편을 수반할 수 있다. 리플이 규제 환경과 기술적 안정성을 중시해 온 만큼, 회사 내부에서도 도입까지 상당한 검토와 테스트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 보도는 스테이킹이 네트워크 보안 강화와 새로운 활용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구체적인 보상 재원, 분배 방식, 참여 조건, 수수료 정책 변화 등 핵심 설계 요소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시장 일각에서 거론되는 ‘패시브 인컴 제공’ 등의 표현은 기대 수준을 보여주지만, 현 단계에서는 개념적 시나리오에 가깝고 확정적 전망으로 보기 어렵다.
XRP 원장의 합의 방식이 기존 PoS 네트워크와 다르다는 점도 변수로 꼽힌다. 외신들이 제시한 효과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설계 변경에 따른 성능 저하와 보안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하며, 네트워크 속도와 처리량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 될 수 있다. 스테이킹 참여가 특정 대규모 보유자에게 집중될 경우 거버넌스 중앙화 우려가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 측면에서는 유동성 환경과 규제 리스크가 도입 논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전망이다. 스테이킹 보상률이 과도할 경우 투기적 수요를 자극해 가격 변동성을 키울 수 있고, 반대로 낮으면 참여 유인이 제한될 수 있다. 참여 구조와 거버넌스 권한 배분, 수수료 재설계가 어떤 조합으로 제시되느냐에 따라, XRP 생태계의 권력 구조와 수익 배분 구조가 재편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요 글로벌 가상자산 매체들은 리플의 이번 검토가 XRP를 둘러싼 투자 내러티브를 바꿀 수 있는 잠재적 전환점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구체적 로드맵이 부재한 점을 한계로 꼽고 있다. 일부 전문가는 스테이킹 도입 논의가 각국 규제당국의 증권성 판단과도 맞물릴 수 있다며, 상품 구조와 공시 체계 정비가 병행되지 않을 경우 법적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향후 논의의 향방은 기술 구현 구체안, 규제 명확성, 커뮤니티 의견 수렴, 보상·거버넌스 설계 등 복합 요인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스테이킹 모델이 XRP 원장에 실제 도입될 경우 생태계 활용 폭과 네트워크 참여는 확대될 수 있지만, 구조 전환 과정에서 새로운 리스크와 변동성이 함께 나타날 가능성도 적지 않다. 국제사회와 시장 참여자들은 리플이 내놓을 차기 설계안과 정책 변화가 XRP 네트워크의 장기 방향을 어떻게 규정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