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API 연동으로 업무 혁신”…대한항공, 물류 플랫폼 디지털화에 글로벌 파장

신유리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11일 오전, 대한항공이 자사와 항공 화주 간의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API 기반 화물 플랫폼을 공식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빠르게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물류 시장에 대응해 업무 효율성과 데이터 투명성을 극대화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관련 업계 및 국제 물류 시장에도 직접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한항공의 새로운 플랫폼은 화물 고객사가 자체 시스템에서 스케줄 조회, 운임 확인, 화물 예약, 운송장 전송 등 주요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회사 측은 기존 수작업 중심의 통신 방식에서 벗어나, 맞춤형 연동으로 데이터 신뢰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API 플랫폼 도입을 계기로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며 “디지털 기반 경쟁력을 확대해 업계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항공’ API 연동 플랫폼 도입…물류 효율성·투명성 강화
‘대한항공’ API 연동 플랫폼 도입…물류 효율성·투명성 강화

이번 조치의 배경에는 국제 항공화물 시장의 디지털 전환 경쟁이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전자상거래와 글로벌 운송 수요가 급등하면서 기존의 아날로그적 처리방식으로는 신속성과 안전성 확보에 한계가 있었다. 업계 안팎에서는 대한항공의 플랫폼 도입이 곧 전 세계 항공화물 산업의 표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세계 각국 물류기업도 디지털 연동 시스템을 강화하는 추세다. 글로벌 주요 항공사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는 화물 운송 업체들이 실시간 데이터 공유와 자동화 기반 운영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대한항공의 움직임 역시 경쟁사, 협력사, 증시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로이터와 CNN 등 주요 글로벌 매체는 “한국 항공물류 기업이 표준 경쟁의 새 국면을 예고했다”, “한국의 빠른 디지털화가 산업 혁신에 불을 붙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진행 중인 플랫폼 도입이 시장 투명성과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물류 자동화와 디지털 전환을 선점하려는 국가 및 기업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대한항공의 전략적 조치가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과 국제물류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업계와 국제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한항공#api플랫폼#항공화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