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석방 방안 협의”…조현 외교부 장관, LG에너지솔루션과 조지아 구금 사태 대응
조지아주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현지 단속으로 한국 국적 근로자 등 300여명이 구금된 사태를 두고, 조현 외교부 장관과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가 조기 석방 방안 논의를 위해 긴급 면담에 나섰다. 이번 사건을 둘러싼 외교적 해법 마련을 두고 정부와 기업이 공동전선을 구축하는 모습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현 외교부 장관은 7일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와 만나 미국 조지아주 우리 국민 구금 상황에 대한 정부의 영사 조력 제공 현황을 상세히 알렸다. 이어 “우리 국민 조기 석방 추진과 안정적인 대미 투자여건 조성을 위한 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히면서, 긴밀한 정보공유와 사건 해결 의지를 드러냈다.

앞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같은 날 미국 조지아주 내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체포된 사건과 관련해 “관련 부처와 경제단체, 기업이 한마음으로 신속하게 대응한 결과 구금된 근로자의 석방 교섭이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정부의 조기 대응과 기업 협력 체계가 실제 성과로 이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는 대목이다.
미 이민당국 단속으로 LG에너지솔루션 소속 인원 47명(한국 국적 46명과 인도네시아 국적 1명), 그리고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관련 설비 협력사 소속 인원 250여명이 한때 구금되는 등 파장이 컸다. 현지 투자 확대와 함께 이민법 리스크가 재부상하면서, 관련 업계와 교민 사회 모두 이번 사건의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미 양국 간 비자, 노동, 투자 환경에 대한 협상력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해외 투자에 따라 우리 국민의 신변 안전 이슈가 상시화될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정부 및 기업의 상시 대응 시스템 강화가 불가피하다”고 해석했다.
정부와 외교 당국은 이번 교훈을 바탕으로 투자기업은 물론 현지 진출 근로자의 권익 보호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향후 외교부는 미국 현지 유관기관과의 접촉을 지속하며, 유사업무 환경의 안전성 확보 및 제도개선까지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