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건희 측 금거북이 매관매직 수사”…이배용, 건강 사유로 특검 재차 불출석

허예린 기자
입력

매관매직 의혹을 둘러싼 법적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김건희 여사 관련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두 번째 출석 요구에도 건강상의 이유로 불응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의 거듭된 불출석을 엄중하게 경고하면서도, 조만간 추가 소환 요구를 할 방침이다.

 

20일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오전 이배용 전 위원장에게 소환을 통보했으나, 그의 변호인이 “발목 복사뼈 골절로 이날 금속판 고정 수술을 받아야 한다”며 출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전 위원장은 지난 13일에도 건강상의 이유로 불출석한 전력이 있었다.

특검팀 관계자는 “정당한 이유 없는 반복 불출석이 확인되면 구속영장 청구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수사기관 관례상 세 차례 이상의 출석 요구를 거부할 경우 신병 확보 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실제 앞서 통일교 측 한학자 총재도 특검의 출석 통보를 3차례 거부한 뒤 구속영장이 발부된 바 있다.

 

특검의 수사 핵심은 윤석열 정권 초기에 이배용 전 위원장이 김건희 여사 측에 금거북이 전달, 인사 청탁 등 불법 로비 정황이 있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특검팀은 최근 김 여사 모친 최은순씨가 운영하는 요양원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이 전 위원장이 대통령 부부에게 쓴 당선 축하 편지와 함께 금거북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전 위원장이 2022년 9월 윤석열 정부 초대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된 것을 두고 김건희 여사가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의혹이 고조되고 있다. 임명 당시 교육계 일부에서는 “친일 인사를 옹호하고, 왜곡된 역사관을 가진 인사가 국가 교육제도 설계에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도 제기된 바 있다.

 

이 전 위원장은 의혹이 확산되자 지난달 1일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사표를 수리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의 전 비서 박모 씨도 참고인 신분으로 이번 주 내 소환할 계획이다. 이 전 위원장이 현재 참고인 신분이지만, 수사 진행에 따라 피의자로 전환될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치권은 특검 수사가 본격화됨에 따라 향후 윤석열 정권 인사 시스템과 김건희 여사 의혹을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이 추가 소환 요구에도 불응할 경우 구속영장 청구 등 강제 조치에 착수할 방침이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배용#김건희특검#윤석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