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과거 남북합의 주춧돌로 무너진 관계 복원”…정동영, 한반도 평화정책 의지 밝혀
정치

“과거 남북합의 주춧돌로 무너진 관계 복원”…정동영, 한반도 평화정책 의지 밝혀

오승현 기자
입력

한반도 평화체제 재건의 필요성을 두고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명확한 의지를 밝혔다. 통일부 수장과 정부가 남북관계 복원을 앞세우며, 대내외 정세와 재외동포의 영향력 활용을 동시에 모색하는 모양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8월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재외동포 통일정책 세미나’에 보낸 서면 축사에서 정부의 남북관계 복원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는 “정부는 과거 남북이 이룩한 소중한 합의를 주춧돌 삼아 무너진 남북 관계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 정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다시금 대화와 협력 중심의 기조 전환을 시사한다.

정동영 장관은 이어 “지금 우리는 무너진 한반도의 평화를 기초부터 다시 쌓아 올려야 하는 새로운 출발점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제는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뒤로 하고 화해와 협력, 평화로운 공존의 시대로 나아갈 때”라며 대북 전환 정책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격변하는 국제 안보 질서와 강대국 간 전략경쟁은 한반도 평화를 향한 여정을 녹록지 않게 한다”고 평가해 남북관계 복원이 단번에 이뤄지기 어렵다는 현실 인식도 내비쳤다.

 

정 장관은 해외 한인사회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다양한 지역과 문화 속에서 쌓아온 재외동포의 경험과 역량은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와 지지를 끌어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조국을 응원하는 재외동포와 함께, 정부는 한반도 평화공존체제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여야를 비롯한 정치권은 정 장관의 메시지에 대해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당은 남북관계 복원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최근의 안보 상황을 근거로 점진적 접근을 주문하고 있다. 반면, 야당 일부에서는 남북 합의의 의미를 재곱씹으며, 과감한 정책 전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남북관계 정상화는 단기적 조치보다 꾸준한 대화와 신뢰 회복이 선행돼야 한다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재외동포를 비롯한 한반도 외곽 인프라의 역할이 더 부각될 것으로 분석된다.

 

영향력이 확대된 국제정세와 남북관계의 난맥 속에, 정동영 장관의 이번 메시지가 정국에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주목된다. 정부는 향후 재외동포 참여를 강화하고, 한반도 평화공존체제 구축을 위한 대내외 설득 작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동영#남북관계#재외동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