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수출입 증가에도 전망치 미달”…중국, 경기 회복 불확실성 확대
현지시각 8일, 중국(China) 해관총서가 8월 수출입 실적을 발표했다. 수출과 수입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으나, 시장 전망에는 미치지 못하며 중국 경기 회복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이번 결과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대외 수요 약세 등 복합적 요인이 무역 지표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해관총서는 8월 수출액이 3천218억1천2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4% 성장했다고 공개했다. 이는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0%와 지난 7월 기록(7.2%)보다도 낮은 수치다. 수입의 경우 2천194억8천140만달러로 1.3% 증가해, 역시 시장의 기대치 3.0%와 7월 실적(4.1%)을 하회했다.

이에 따라 8월 전체 무역 규모는 5천412억9천15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무역 흑자도 1천23억2천880만달러로 집계됐으나, 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반영된 수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은 올해 1∼8월 누적 기준으로 수출이 5.9% 증가하고, 수입이 2.2%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체 무역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실적 발표가 중국의 경기 회복세에 대한 신중한 관찰을 요구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수요 변동성과 환율 등 대외 환경이 당분간 중국 무역 흐름에 변수가 될 전망”이라며, “다음 달 중국 주요 경기 지표와 글로벌 경기 방향에 관심이 집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로이터 등 주요 외신도 이번 결과를 두고 “중국 경제가 본격 회복세로 전환하기엔 여전히 대외 변수 부담이 크다”며, 시장의 예상치를 하회한 점을 중점 보도했다. 중국 본토 및 아시아 증시도 이날 발표 이후 등을 의식하며 보합세를 나타냈다.
중국 당국 및 글로벌 투자자들은 향후 발표될 경기지표와 정책 대응을 예의주시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국제 무역 환경 변화 속에 중국 경제의 구조적 전환 상황이 계속해 주목받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무역 실적이 향후 글로벌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