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미군 사격장 배수로 공사 의혹…”창원시, 시행 전혀 없었다 강력 부인
사격장 부지 개선공사를 둘러싼 논란이 창원시와 지역 시민단체 간 첨예한 대립으로 확산되고 있다. 창원시 의창구 팔용산 주한미군 사격장에서 정비공사가 이뤄지고 있다는 주장에 시 당국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면서 지역 정치권과 주민 사이의 긴장이 고조됐다. 사격장 운영과 이전 문제를 놓고 쟁점이 다시 부각되는 모양새다.
26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시민단체 ‘평화주권행동 경남평화너머’가 기자회견을 열고 사격장 일대에서 최근 배수로 정비공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주한미군 사격장 쪽에서 언론 보도를 통해 최근 배수로 정비공사가 확인됐다”며 “지난해 5월 창원시와 시민이 합의했던 공사 중단 및 부지 이전 논의가 무위로 돌아간 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단체는 “창원시가 2023년 5월 국방부에 보낸 건의문의 진행상황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며 자료 공개를 촉구했다.

그러나 창원시는 즉각 “주한미군 사격장 배수로 정비공사는 시행된 적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시 관계자는 “관련 부지는 현재 폐쇄돼 출입이 불가하며, 2023년 5월 개선공사 중단 이후 공사 관련 출입기록도 없다”고 확인했다. 또한 시는 “부지 개선공사는 계속해 중단 상태이고, 국방부는 주한미군과 대체 사격장 마련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시는 “최근 근처 육군 제9탄약창 부대 부지에서 철책 설치 공사가 9월까지 진행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정치권과 지역 사회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시민단체는 “지속적인 정보 비공개와 행정의 소극적 대처가 시민 불안을 키운다”고 지적하며 공론화에 나섰다. 창원시는 “시민 안전과 재산권 보호를 위해 국방부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으나, 시민단체는 현장 공개와 절차적 투명성 강화를 계속 주장하고 있다.
문제의 사격장은 2023년 벌목 작업 중 실체가 알려진 뒤, 안전 우려와 주거 피해 논란이 커졌다. 창원시는 당해 5월 4일 국방부에 사격장 이전을 공식 건의했으며, 이 과정에서 주한미군과 국방부가 개선공사 중단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일부 현장 공사 정황이 드러나면서 사안이 다시 정국의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현장에서는 “공사 여부와 향후 부지 활용 방침에 대한 명확한 소통이 필요하다”는 여론도 나왔다. 창원시와 국방부, 미군이 주둔 시설 안전 논쟁의 갈등을 해소하고 신뢰 회복에 나설지 주목된다. 국방부는 앞으로 사격장 대체 부지 마련과 주민 의견 수렴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