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수조 파라미터로 간다”…SKT, 초거대 모델 개발 선언에 업계 긴장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의 분수령이 될 수조 파라미터급 초거대 모델 개발 경쟁이 본격화됐다. SK텔레콤은 자체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K-AI’를 수천억~수조개 파라미터 규모로 구축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텍스트·음성·이미지·비디오 등 다채로운 데이터를 아울러 학습하는 ‘옴니모달’ 모델로,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친 AI 전환 가속이 예고된다. IT·바이오 업계는 이번 SK텔레콤의 행보를 국내 초거대 AI 시장 주도권 경쟁의 중대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SK텔레콤 AI R&D센터를 이끄는 양승현 CTO는 “K-AI는 인간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초대형 AI로, 질문에 답하는 수준을 넘어 행동 계획과 실행, 복잡한 문제 단계별 해결까지 지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에이전트형 모델로 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옴니모달 K-AI는 SK텔레콤 컨소시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프로젝트의 정예팀으로 선정된 이후 첫 대형 전략 공개란 점에서 산업적 의미가 크다.

K-AI의 핵심은 언어, 음성, 이미지, 영상 등 이종 정보를 한데 결합해 ‘상황 인식’과 ‘다중 인터페이스 처리’ 능력을 갖추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국내 최대급 슈퍼컴퓨터(TITAN) 인프라, 자체 운영 GPU 클러스터, 대규모 울산 AI 데이터센터 등 차별화된 인공지능 컴퓨팅 기반을 활용한다. 기존 AI 모델이 텍스트, 이미지만 처리하던 한계를 넘어서, K-AI는 육성 안내·시각 콘텐츠 해석·로봇 행동 명령 등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SK 그룹사 및 컨소시엄 참여사를 중심으로 K-AI 상용화가 본격화되고, 제조·자동차·금융·게임·로봇 등 전 산업의 ‘AI 전환(AX)’이 대폭 앞당겨질 전망이다. 실제로 SK텔레콤은 이미 수천만 건에 이르는 통화·콜센터 요약 등 상용화 경험을 보유, 프로젝트의 실효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국내 초거대 AI 시장은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들과 글로벌 빅테크의 각축장이 된 상황이다. K-AI는 “국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공공성과 보편성”과 함께, 영어·한국어 등 다국어 처리능력, 한국형 맥락 반영 등으로 글로벌 표준 모델과 차별화를 꾀한다. SK텔레콤 측은 글로벌 시장 진출도 적극 검토 중이다.
한편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과 운영은 대규모 데이터 보호·저작권·윤리 이슈, GPU 등 고가 장비 및 에너지 비용 등 넘어야 할 진입장벽이 여전하다. 정부가 지원하는 이번 정예팀 선정으로 컴플라이언스, 데이터 국지화, 모범사례 확산 등 다층적 규제·정책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국내 고성능 슈퍼컴·데이터센터 인프라, 다방면 상용화 역량이 뒷받침될 때 산업별 AI 활용 속도가 크게 빨라질 수 있다”며 “초거대 AI 기술력과 산업 생태계 간 시너지가 국가 디지털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계는 이번 K-AI 프로젝트가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AI 플랫폼 구도에 어떤 지각변동을 초래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