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가 전산망 장애, 복구 총력”…윤호중, 책임론에 현장 대응 강조

조현우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촉발된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가 공공 IT 인프라의 취약점을 드러내며, 복구와 재발 방지 대책이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회에서 “재난 상황에서 국가 지도자와 국민을 이간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대통령 책임론 확산에 신속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전산망 장애 사태는 9월 26일 국정자원 화재 발생 직후 대다수 정부 정보시스템이 정상 작동을 멈추면서, 국민과 공공기관 서비스에 직접적 불편을 초래했다. 업계와 정부는 단순 장비 고장을 넘어 예방·관리 체계의 전면적 재설계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윤 장관은 “대통령은 해외 출장 중에도 재난 상황을 실시간 보고받고, 귀국 즉시 긴급 현장 지휘와 복구 지시를 내렸다”며, 화재 진압과 피해 최소화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복구 작업은 각 시스템 피해 상황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데이터 손실 방지와 서비스 중단 최소화 대책이 병행되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는 분산 관리 시스템 미흡 및 긴급 대응 프로토콜의 미정립 등 구조적 취약점이 도마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화재와 같은 대형 물리적 리스크에 대비한 데이터 이중화, 백업센터 확충,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컨트롤타워 가동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전산망 핵심 노드가 물리적으로 집중된 구조는 장애 확산을 막기 어렵다”는 점이 반복 논의되고 있다.

 

복구 과정 및 책임 소지 논란도 심화되는 양상이다. 야당은 정부 지휘·관리 소홀, 일부 업체의 안전 가이드라인 미준수와 감리 부실을 문제 삼고, 현 정부 인사 구조와 예산 삭감 등 정책적 요인이 영향을 줬다고 비판한다. 이에 여당과 행안부는 “정쟁보다 국민 불편 해소와 시스템 재설계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공공 데이터와 IT 인프라 관리 체계는 향후 대대적 개편이 예고된다. 행안부는 장애 복구와 함께 재발 방지, 복구 매뉴얼 고도화, 시스템 이원화, 관계기관 협업 강화 등을 포함한 종합대책을 예고했다. 정보보호체계와 위기관리 시나리오도 전면 재검토될 전망이다.

 

IT 업계와 전문가들은 “반복되는 전산망 사고는 인프라 현대화, 클라우드 기반 이중화, 공공기관 물리 분산배치가 시급하다는 신호”라며, 장기적 투자가 산업·정부 신뢰 회복의 관건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사태가 공공 IT 관리 시스템 혁신의 분수령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호중#국가정보자원관리원#전산망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