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방산 협력 확대 방안 논의”…안규백 국방장관, 나토 군사위원장과 국방 교류 강조
정치

“K-방산 협력 확대 방안 논의”…안규백 국방장관, 나토 군사위원장과 국방 교류 강조

한유빈 기자
입력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주세페 카보 드라고네 북대서양조약기구 군사위원장이 서울에서 만났다. 2025년 9월 9일 서울안보대화 참석을 계기로 이뤄진 양자회담에서 양측은 국방·방위산업 분야 실질적 협력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글로벌 안보 지형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간 전략적 연계성 강화가 다시 한번 주목받았다.

 

안규백 장관은 현 국제 안보 환경에서 유럽과 인도·태평양 지역 간 안보 네트워크가 긴밀해지는 추세를 지적하며, "나토와의 협력 확대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드라고네 위원장은 국방, 정보공유, 사이버, 우주,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나토의 협력 심화 의지를 밝혔다. 드라고네 위원장은 "국방·군사교류, 정보공유를 비롯해 다각적 분야 실질 협력이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특히 안 장관은 K-방산과 관련해 나토 차원의 협력 확대 의사를 공식 언급했다. 그는 “유럽 개별국가를 넘어 나토와의 방산 협력이 강화돼야 한다”며, 한국 방산의 미래지향적 파트너십 구축 및 상호 호혜적 교류가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이 과정에서 고위급 상호 방문 등 교류 채널을 꾸준히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또한 안 장관은 서울안보대화에 참석한 남아프리카공화국, 크로아티아, 몽골 국방장관과 최초로 양자회담을 진행했다. 앤지 모체카 남아공 장관과는 양국 군사협력의 제도적 기반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추진하기로 했고, 이반 아누쉬치 크로아티아 장관과는 군사교육·훈련, 방산 등 전방위 분야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몽골의 담바 바틀루트 장관과는 평화유지, 대테러 연합훈련, 정례협의체 운영 등 구체적 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주요국과의 협력 움직임도 활발히 전개됐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두희 차관은 같은 기간 캐나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스웨덴 등과 양자회담을 통해 각국 맞춤형 국방 및 방산 협력 발전방안을 협의했다. 캐나다와는 고위급 정책협의체 가동 및 군사정보 교류 확대, 말레이시아와는 FA-50 수출을 고리로 한 방산협력 심화, 싱가포르와는 해양안보 분야 전략적 협력 확대 등에 의견을 모았다. 스웨덴과도 국방과학기술 부문의 협력 강화 방향이 논의됐다.

 

전문가들은 한-나토와 신흥국 간 다층 협력은 한국 국방외교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서울안보대화를 계기로 국방·방산 협력 네트워크가 한층 촘촘해지고, 아시아·유럽간 상호 신뢰 구축 물꼬를 텄다는 평가도 뒤따랐다.

 

한편, 정부는 나토와의 협력 증진 및 신흥국과의 방위산업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안보협력 다변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안규백#나토군사위원회#서울안보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