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키분배 기술 보안성 강화”…KT, 국가정보원 인증 획득
양자키분배 기술이 네트워크 보안 산업의 판도를 다시 쓰고 있다. KT가 자체 개발한 양자키분배(QKD) 기술이 적용된 전송 장비가 국내 제조 장비 가운데 처음으로 국가정보원 보안인증을 통과했다. 첨단 과학기술기관의 보안기능시험을 거쳤으며, 업계는 이를 ‘국내 양자 암호 생태계 구축’의 분기점으로 꼽는다.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는 양자키분배 원천기술을 국산 전송장비 제조사인 코위버에 이전해, 네트워크용 특화 장비를 개발했다. 해당 장비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의 보안 시험과정 후 국가정보원 보안검증을 획득했다. 해외 기술에 의존하지 않은 순수 국내 기술로 양자 암호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점이 산업적으로 의미가 크다.

양자키분배는 양자역학의 ‘양자 중첩’ 현상을 이용해 0과 1의 정보를 동시에 담는 원리를 활용한다. 그 결과 해킹 및 도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암호키 생성·전달이 가능하다. 기존 전자적 방식과 달리, 수신자가 중간에서 정보를 탈취하면 반드시 흔적이 남아 실시간 감지가 가능한 것이 차별점이다. KT와 코위버가 개발한 장비는 중앙 노드와 주변 6개 지역 노드가 1:6 방식으로 연결된다. 기존 1:1 방식 장비보다 네트워크 구축 비용이 30% 이상 절감된다는 설명이다.
공공기관과 국가 기관에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보호 시스템과 네트워크 장비는 의무적으로 국가정보원 보안적합성 검증을 받아야 한다. 특히 양자암호통신 장비도 이 범주에 속하며, 본 인증으로 관련 장비가 실사용에 들어설 수 있게 됐다. 업계에서는 국내 양자암호 기반 인프라의 조기 확산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는 이미 양자암호통신망 실증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순수 국내 기술로 보안인증까지 획득한 사례는 드물다. KT는 향후 코위버를 비롯한 다양한 국내 기술 기업에도 양자키분배 원천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보유한 양자암호통신 관련 핵심특허는 15건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국산 양자키분배 기술의 상용화 시점이 네트워크 보안 시장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