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기후테크 신산업, 규제 혁신이 열쇠”…김민석 총리, 탄소중립·에너지안보 동시 달성 강조
정치

“기후테크 신산업, 규제 혁신이 열쇠”…김민석 총리, 탄소중립·에너지안보 동시 달성 강조

박다해 기자
입력

기후테크 신산업을 놓고 제도 혁신과 신기술 육성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기후산업 국제박람회’ 개회사에서 적극적인 규제 개혁과 AI 기반 에너지 혁신을 약속하며, 탄소중립·에너지안보·경제성장 등 세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민석 총리는 “기후테크 신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며 “각종 규제와 제도를 혁신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 새 정부는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전력망 확충과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에 앞장서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 경제 성장을 함께 이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김 총리는 “AI(인공지능)에 기반한 분산에너지 확산을 통해 전력망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AI 발전에는 안정적인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고, 에너지 혁신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필수”라고 강조하며, “에너지와 인공지능, 두 축의 융합이 기후·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기후와 에너지 문제는 개별 국가가 홀로 해결할 수 없다”며, “대한민국은 AI와 에너지가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해 전 세계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역설했다. 국제 연대와 기술 혁신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올해 ‘AI를 위한 에너지, 에너지를 위한 AI’를 주제로 개막한 박람회에는 32개국 정부 대표와 15개국 대사 등, 국제기구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며 전시와 콘퍼런스가 사흘 일정으로 이어진다. 행사에는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세계은행 부총재 등도 자리해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정치권도 에너지·기후산업이 미래 성장 동력인 동시에 규제의 혁신이 필수라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 이 같은 기조에 따라 정부는 기후테크 산업 성장과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추가 제도 개편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날 벡스코 현장은 신산업 육성과 국제협력이라는 과제가 맞물리며 앞으로의 정책 방향에 무게가 실렸고, 정치권과 업계에서는 글로벌 기술 변동성에 적극 대응하는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기후테크#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