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악수로 협치 시동”…이재명 대통령, 여야 회동 속 쟁점 난항 예고
정치적 대치가 극에 달한 상황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8일 청와대 회동을 통해 ‘첫 악수’로 만났다. 민생경제협의체를 신설하고 공식 소통 채널을 구축하겠다는 데에는 일치된 의사를 보였으나, 내란 특검 및 사법개혁 등 쟁점 현안에서는 여전한 이견을 확인했다. 이 회동이 극한 대립 국면에서 정국 해빙의 신호탄이 될지, 혹은 겉돌이 협치에 그칠지가 정치권의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날 만남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취임 13일 만에 이재명 대통령,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손을 맞잡으며 화기애애하게 시작됐다. 장 대표가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 달라”고 요청했고, 정 대표는 “여야의 건설적 대화가 복원되길 바란다”고 화답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젠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며, 국민 통합과 간극 해소를 자신의 역할로 강조했다. 또한 “‘여당이라 더 많이 가졌으니 야당에 조금 더 내어주면 좋겠다”는 제안에, 정 대표가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하는 등 협치 의지는 확고히 표명됐다.

실질적 성과를 위한 민생경제협의체는 국민의힘·민주당 모두 ‘성과 중심의 운영’에 방점을 뒀다는 점에서 주목 받았다.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과 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각각 “보여주기식이 아닌 주제 있는 협의체”, “공통 공약과 배임죄 개선 등 성과 창출”을 강조했다. 또 청년 고용, 주식 양도세, 지방 경제 활성화 등 주요 과제도 논의 대상에 포함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공통 공약은 과감히 같이 시행해보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내란 관련 특검, 검찰개혁, 대법관 증원, 정부조직법 등 핵심 쟁점에선 활발한 의견 교환에도 입장 차만 더욱 분명해졌다. 국민의힘은 “특검 연장과 특별재판부 설치 법안 등에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행사”를 요청했고, 민주당은 “내란 종식과 책임 있는 사과, 강경 대처”를 강조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특검 수사에 대한 재의요구권 행사는 대통령이 할 사안이 아니”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외에도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의 체포동의안 본회의 표결 등 새로운 현안이 쟁점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표결이 가결될 경우 정국 해빙 기류가 금세 얼어붙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치권은 이날 회동을 계기로 제도적 협치의 기본틀을 마련했으나, 본질적 갈등 해소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이번 주 권성동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 등 굵직한 현안을 앞두고, 여야 모두 전략 마련에 고심을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