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준금리 동결 유지”…미국 연준, 트럼프 인하 압박에도 매파 행보에 시장 긴장
국제

“기준금리 동결 유지”…미국 연준, 트럼프 인하 압박에도 매파 행보에 시장 긴장

문수빈 기자
입력

현지시각 30일, 미국(USA)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가 고조되는 가운데, 다수 위원은 신중 기조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경제뿐 아니라 세계 금융 시장에도 즉각적 영향을 주며, 연준의 내부 의견 분포까지 주목받는 국면이다.

 

이날 FOMC에서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와 미셸 보먼 부의장이 금리 동결안에 반대표를 던졌다. 연준 발표에 따르면, 이사 2명이 동시에 동결에 공식 반대한 것은 지난 32년 동안 없던 일로 기록됐다. 월러 이사는 “노동시장 약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7월부터 금리 인하를 재개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았고, 보먼 부의장 역시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를 전제로 7월 금리 인하를 시사한 바 있다.

연준, 기준금리 4.25~4.50% 동결…트럼프 인하 압박에도 소수 이사만 반대
연준, 기준금리 4.25~4.50% 동결…트럼프 인하 압박에도 소수 이사만 반대

그러나 연준 위원 다수는 “경제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 “지금의 통화정책이 경제의 발목을 잡는다고 보지 않는다”며, 기준금리가 실업을 자극하는 수준까지 이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다음(9월) 회의 전까지 고용·물가 등 관련 지표를 신중히 관찰하겠다”며 즉각적인 조정은 피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번 결정은 최근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2.7%로 반등하는 등, 일부 품목에서 관세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는 와중에 나왔다. 연준은 장난감, 가전제품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관세의 직접적 인플레이션 효과는 제한적이란 평가를 내놨다. 앞서 6월 경제전망(SEP)에서도 위원 7명이 연말까지 동결을 선호한다고 밝혀, 내부의 견해차가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금융업계에서는 신중론이 힘을 얻고 있다. JP모건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일부 이사의 금리인하 주장은 정치적 배경이 짙다”고 꼬집었고, KPMG의 다이앤 스웡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동결과 인하를 둘러싸고 이견이 커질 시점”이라고 해설했다.

 

파월 의장의 이번 발언은 시장에서 매파적 신호로 해석됐다. 이에 따라 9월 FOMC에서도 금리 동결 전망이 금리선물시장에서 54%까지 상승, 전날 35%에서 크게 높아졌다. 뉴욕타임스와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연준의 신중한 접근이 앞으로의 미 경제 환경 불확실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내부 이견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에 의미를 두며, 9월 회의 및 그 이후의 통화 정책 방향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사회는 연준이 물가와 고용이라는 두 축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내릴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연준#금리동결#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