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수출 허브 조성"…김민석 총리, 안전성 평가제·규제 혁신 주문
정책 경쟁과 수출 전략을 둘러싼 각 부처 이해관계가 맞부딪힌 가운데 국무조정실과 산업·복지 부처가 한 자리에 모여 한국 화장품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청사진을 내놨다. 정부는 규제 혁신과 안전성 강화를 앞세워 K뷰티를 K컬처 전반으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7일 오전 충청북도 음성군의 한 화장품 제조업체 공장에서 열린 제6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K뷰티 수출 확대 방안을 핵심 의제로 다뤘다. 이날 회의는 기존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명칭을 국가정책조정회의로 바꾼 뒤 처음 열린 자리다.

김민석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고부가 가치 신소재 개발과 인력 양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K뷰티의 파급력을 K컬처 전반으로 확산시켜 수출 전략 품목으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성장 사다리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온오프라인 현지 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민석 총리는 특히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전환과 수출 플랫폼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K뷰티의 글로벌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의 인공지능 디지털 대전환을 지원할 때"라며 "수출 허브를 구축하고 연구·개발부터 관광까지 전후방 산업을 포함해 지방정부와 민간이 함께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장품 단일 품목 지원을 넘어 연구개발, 생산, 유통, 뷰티 관광을 아우르는 생태계 조성을 예고한 셈이다.
품질과 안전 문제도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김민석 총리는 "수출이 늘어나도 안전과 품질에 대한 신뢰가 없다면 사상누각이기에 신뢰를 키워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화장품 안전성 평가제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어 위조 화장품 문제에 대해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강조하며 해외 시장에서의 브랜드 신뢰 보호에 방점을 찍었다.
중소·영세 기업 지원과 절차 개선 방안도 구체적으로 언급됐다. 김민석 총리는 "중소 영세업체의 품질관리 기준 지원을 이행하겠다"며 "신속한 제품화를 위한 규제 혁신,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허가 서류 사전 검토제 도입, 기능성 화장품의 출시 절차 간소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인허가 과정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행정 부담을 줄이고, 기능성 제품 출시 속도를 높여 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제시된 지원·혁신 방안을 토대로 2030년까지 화장품 수출액 150억 달러, 수출 중소기업 수 1만곳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내놓았다. 수치 목표를 명시한 만큼 향후 예산 편성과 부처별 세부 계획으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김민석 총리는 회의 취지와 관련해 "형식적인 게 아니라 실제로 국가정책을 함께 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관계 부처뿐만 아니라 민간이 함께 실질적인 정책 조정을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무조정 기능을 강화해 부처 간 칸막이를 줄이고 업계 목소리를 반영하겠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날 회의에는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 부처 장관과 더불어 한국콜마, 올리브영, 대한화장품협회 등 업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정부와 기업이 한 자리에 모여 수출 전략과 규제 개선 방향을 논의한 만큼 후속 협의체 가동 여부도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김민석 총리는 회의에 앞서 화장품 제조공장과 전시장을 둘러보고 인공지능 기반 피부진단 기계를 직접 체험했다. 직원이 "총리님 피부 나이가 56세로 나와서 실제 나이 61세보다 관리가 잘 되고 있다"고 설명하자 김민석 총리는 웃으며 "너무 많은 것을 알게 돼서 그만하고 싶다"고 말했다. 업체 관계자가 "우리 회사에 한 달만 계시면 얼굴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하자 김민석 총리는 "대통령님께 한 달 동안 못 보실 거라고 전해달라"고 농담해 현장 분위기를 누그러뜨렸다.
김민석 총리는 현장 설명을 들은 뒤 "제조업자 개발 생산도 탄탄하고 마케팅, 기획연구도 탄탄한 하나의 생태계"라며 "전 세계인의 뷰티는 한국이 다 책임지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K팝과 드라마에 이어 K뷰티가 한국 문화산업의 또 다른 축으로 부상한 만큼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는 취지다.
국무조정실과 관계 부처는 이날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출 허브 구축, 안전성 평가제 도입, 인허가 절차 개선 방안에 대한 세부 계획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국회 역시 관련 제도 개선과 예산 지원 필요성을 두고 다음 회기에서 본격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