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한미 기계화 전력, 남한강 도하”…육군, UFS 연습서 상호운용성 집중 검증
정치

“한미 기계화 전력, 남한강 도하”…육군, UFS 연습서 상호운용성 집중 검증

최유진 기자
입력

한미 연합 도하 전략을 둘러싼 협력과 시험이 경기도 여주 남한강 일대에서 펼쳐졌다. 육군과 미군이 함께 진행한 ‘한미연합 제병합동 도하훈련’에는 양국 합동 작전 능력과 장비 상호운용성에 대한 정치적, 군사적 관심이 집중됐다. 이번 훈련은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육군은 7공병여단 예하 도하단과 미 2사단·한미연합사단 예하 814다목적교량중대, 스트라이커여단, 2전투항공단을 포함한 300여명 장병들이 이번 훈련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과 리본부교, 개량형 전술부교 등 130여대 도하장비, 미 스트라이커 장갑차 등 20여대의 기계화 전력도 총동원됐다.

수룡은 차량 형태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으면서, 필요 시 문교와 부교로 즉각 전환 가능한 수륙양용 도하 지원 장비다. 한미 양국 군은 실제 전장 상황을 가정해 수색 정찰, 도하 지점 확보, 부교 구축 등 작전 단계를 연동했고, 무인수상정과 공격단정 등이 도입됐다. 특히 도하지점 확보 후에는 수룡을 문교로 전환해 미국군의 스트라이커 장갑차가 남한강을 건너는 과정도 중점 훈련했다.

 

이밖에 리본부교와 개량형 전술부교의 내부교절을 결합해 길이 280m에 달하는 대형 연합부교를 구축, 신속한 아군 부대 기동을 시연했다. 육군은 “이번 훈련은 실제 연합 도하자산의 장비 상호운용성 검증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훈련 결과에 대해 7공병여단은 “성과를 심층 분석해 후속 훈련 과제를 도출할 예정”이라며 “향후 제대별 전술훈련과 다양한 연합 훈련을 보다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군 안팎에선 한미 연합 전력의 실제적 통합과 도하작전 숙련도 향상이 재차 확인됐다는 분석도 잇따랐다. 향후 육군과 미군은 유사시 한반도 동시작전 능력 제고를 목표로 연합훈련과 장비 공조를 지속할 방침이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육군#한미연합도하훈련#수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