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한중관계·북핵 공조 강조”…이재명 대통령 특사단, 왕이 만남 통해 시진핑에 친서 전달
정치

“한중관계·북핵 공조 강조”…이재명 대통령 특사단, 왕이 만남 통해 시진핑에 친서 전달

김다영 기자
입력

한중 외교의 긴장과 협력 국면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직접 친서를 전달하는 특사외교전에 나섰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을 단장으로 꾸려진 대통령 특사단은 24일 베이징 조어대에서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을 만났으며, 한중 관계와 한반도 정세 전반을 아우르는 양국 협력 구상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25일 이 같은 사실을 알리며 “특사단이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 한미동맹과의 병행 추진 방침, 그리고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APEC)에서의 시진핑 주석 초청 의사 등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박병석 단장은 “국익과 실용에 기반해 한중 협력의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하겠다”며 친서를 전달했고, 왕이 부장은 “시 주석에게 신속히 보고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 자리에서 특사단은 한미동맹을 굳건히 발전시키는 한편, 전략적 동반자인 중국과의 관계도 실질적이고 국민 체감형 성과로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한편 왕이 부장은 “새 정부 특사단의 방중과 메시지에 깊은 사의를 표한다”며, 한중 양국이 올해 10월 예정된 경주 APEC 정상회의와 내년도 의장국 인수 문제를 긴밀히 협력해 풀어나가기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안보 쟁점도 주요 의제로 올랐다. 특사단은 “북핵·미사일 도발엔 단호하게 대응하되 남북 대화와 신뢰구축 조치, 그리고 평화공존의 길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의 ‘지속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왕이 부장은 “중국의 한반도 정책 기조엔 변함이 없다.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한국과 협력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서해 잠정조치수역 내 중국의 일방적 구조물 설치, 심해 양식시설 등 민감한 해양 현안도 논의됐다. 특사단은 상호 관심사 존중과 우리 국민 안전, 광복 80주년을 맞아 중국 내 사적지 관리·보존 요청 등을 공식적으로 전달했으며, 왕이 부장은 이에 대해 적극 협조 의사를 밝혀 양국 국민 교류와 국익 증진에 힘쓰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교육·문화 교류, 경제 협력, 공급망 안정화 등 실질적인 생활 밀착형 정책까지 폭넓게 논의됐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박 단장은 “서울대-북경대 합동연구 등 민의에 기반한 양국 우호 증진 방안 모색”을 제안했으며, 중국 측도 적극적 화답을 전했다.

 

이번 특사단에는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박정 의원과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아들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재단 이사장이 포함됐다. 이들은 27일까지 중국의 주요 인사들을 연쇄적으로 면담하며 외교 채널을 넓힐 계획이다. 25일엔 왕원타오 상무부 부장과 경제협력에 대해 협의하고 주한 중국대사 출신 인사들과 오찬을 갖는다. 26일엔 한정 국가부주석,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 중앙 지도자와도 면담할 예정이다.

 

이처럼 한중관계 발전과 실질적 북핵 공조의 두 갈래 전략을 병행해 나가는 모양새다. 정치권은 이번 특사외교의 실제 효과와 시진핑 주석의 경주행 성사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향후 APEC 정상회의 계기 한중 정상 방한 등 협력 로드맵 마련에 집중할 방침이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왕이#박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