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8,353억 사상 최대”…한국투자증권, 증시 호조에 전 부문 성장
한국금융지주는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올해 3분기 연결 영업이익 8,353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7.8% 늘어난 수치로, 증시 호조와 핵심 사업부문별 동반 성장이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금리 변동성에도 금융업 실적이 크게 개선된 데 주목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3분기 매출은 5조6,509억 원(전년 동기 대비 0.4%↑), 순이익은 6,509억 원(96.8%↑)으로 집계됐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1조9,832억 원, 누적 순이익은 1조6,761억 원을 기록해 각각 71.2%, 60.9% 성장했다. 누적 기준 영업이익이 2조 원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에 근접했다.

증권업계는 투자심리 회복세와 더불어 이미 시중 유동자금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국내외 주식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직전 분기 대비 18.5%↑)과 금융상품 판매 수수료(펀드·랩 등, 31.4%↑)가 동반 성장한 것이 실적 상승의 촉진제로 작용했다. 3분기 기준 개인 고객 금융상품 잔고는 81조 원에 달하고, 올해에만 13조3,000억 원이 신규 유입됐다.
한국투자증권은 “증시 주변 자금 확대, 해외 협업 특화 상품 인기, 자기자본운용과 IB(투자은행) 부문 실적 모두가 대폭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3분기 말 기준 발행어음 잔액은 18조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IB 부문에선 IPO, 유상증자, 채권 인수 등 전 영역에서 견조한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증시 호황과 상품 다각화, 자본시장 혁신 전략이 이번 실적을 견인한 주요 배경이라고 지적했다.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와 업무 혁신 효과로 이익 체력이 한층 탄탄해졌다”며 “향후 금리와 증시 흐름에 따라 추가 성장세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증권사 자금 유입 경로와 위험관리, 실물경제와의 연계성을 점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사업 다변화가 안정적 수익 구조를 뒷받침할지 주시하고 있다.
작년 하반기부터 자본시장 환경이 변동성에 흔들릴 때도 한국투자증권은 상대적으로 견고한 실적을 유지해왔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2배 가까이 확대된 것은 2020년대 이후 처음이다.
향후 정책 방향은 증시·금리·국제 금융시장 등 주요 지표 추이에 따라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