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장성 전원 교체, 지시한 바 없다”…안규백 국방부 장관, 합참의장 주도 설명
합동참모본부의 장성 전원 교체 지시 논란이 정국의 쟁점으로 부상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직접 입장을 밝히며 정치권 공방에 불이 붙었다. 군 인사의 대대적 쇄신 기조와 안보 태세 유지라는 두 가지 가치가 충돌하는 양상이다.
7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진영승 합참의장이 합참 소속 장성 전원을 교체하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 "제가 지시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는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이 "장관이 직접 합참 장군 교체를 지시한 것이냐"고 질문한 데 따른 답변이다.

안 장관은 이어 "적법 절차를 유지한 가운데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아마 합참의장이 그런 제안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합참의장의 지시는 한꺼번에 모두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근무 연한이 찬 인원을 교체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절차상 문제는 없다고 덧붙이면서도, "더 파악해보겠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은 "합참은 365일 대비 태세가 핵심인데, 이같은 대규모 교체는 부적절하다"며 "역사의 죄인이 될 수 있다. 재고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합참 고위 인사가 대거 교체될 경우 안정성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군 당국에 따르면, 진영승 합참의장은 최근 합참 장성 전원과 2년 이상 근무한 중령·대령을 대상으로 전면 교체 지시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방침은 군 조직 쇄신이라는 명분과 맞물리면서도 현장에서는 인사 파장의 실질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크다.
정치권에서는 군 인사의 대대적 변화가 군 기강 확립 및 신뢰 제고로 이어질지, 아니면 안보 태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지 두고 팽팽한 의견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절차적 정당성 확보와 현장 혼란 최소화가 동시에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날 국회는 합참 장성 교체 논란을 두고 정부와 군 당국의 배경 설명, 정치권의 우려와 권고가 맞물리며 치열한 질의·답변 공방을 벌였다. 국방부는 장성 교체 절차와 파장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