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용자 무단 소액결제 피해 확산”…민관 합동 조사단, 해킹 원인 규명 착수
KT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일대를 중심으로 잇따라 발생하면서,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민관 합동 조사단이 신속히 꾸려지고 금융 피해 차단 대책 마련이 본격화됐다.
9일 KT는 “지난 8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사고 신고 조치를 했다”며 “피해 고객에게 금전적 손해가 가지 않도록 사전 대응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결제 한도 하향 조정 등 추가 피해 방지 방안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KT 측은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고, 이후 추가 피해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같은 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 이용자를 겨냥한 소액결제 피해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최우혁 단장을 중심으로 12명 규모의 민관 합동 조사단을 긴급 구성했다. 조사단은 과기정통부, KISA 관계자 및 민간 전문가로 편성됐으며, 8일 오후 10시50분 서울 서초구 소재 KT 우면동 사옥 현장조사를 시작으로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아울러 KT에는 관련 자료 보전을 요구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해킹 사건이 반복돼 단순 대응에 그치지 않고 근본적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KT 등 통신사와 긴밀히 소통 중이며, 조사 결과에 따라 추가 발표를 예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통신사 소액결제 시스템의 취약점을 노린 사이버 침해 위험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근 반복되는 유사 피해에도 불구하고, 불법 소액결제 감시 체계와 실질적인 보상 체계 등 제도적 보완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한편, 관련 당국은 추가 피해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와 같은 개인정보·금융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 이슈가 반복되고 있는 만큼, 조사단의 원인 분석 결과와 향후 제도 개선 논의가 주목된다.
경찰과 관계 당국은 추가 피해 사례 유무와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에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