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한국서 숙청 또는 혁명”…트럼프, 정상회담 앞두고 이례적 압박 발언
정치

“한국서 숙청 또는 혁명”…트럼프, 정상회담 앞두고 이례적 압박 발언

문수빈 기자
입력

정치적 충돌 지점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드러났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고 언급하며, 한미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돌출 메시지를 던지면서, 내란 특검 수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재판 등 한반도 정국이 다시 국제 이슈로 부각되는 모양새다. 대통령실은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며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게재했다. 또 “나는 새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을 오늘 백악관에서 만난다”며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 줘 감사하다”고 썼다. 이 발언은 한국 내 윤석열 전 대통령 수사와 내란 특검 등 최근 일련의 정치적 격동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워싱턴DC 프레스센터에서 정상회담 일정 브리핑 중 “정확한 상황을 확인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글에 대해 대통령실도 인지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국내에서도 페이크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는 만큼, 공식 계정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가 퍼진 시점과 브리핑이 겹쳐, 대통령실은 사안 인지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례적 발언이 정상회담 협상에서 압박을 강화하고, ‘마가’(Make America Great Again) 등 지지층 내 강경 의견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국 극우 인사 로라 루머가 이재명 대통령 당선 직후 “공산주의자가 한국을 접수했다”고 주장한 사례도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뒤따랐다.

 

특히 정상회담을 앞두고 ‘숙청’이나 ‘혁명’과 같은 자극적 표현이 연이어 거론되며,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과정에서 한반도 정세 또는 전직 대통령 수사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할 가능성이 주목된다. 한편 한국 정부 내에서는 정상회담이 예정된 만큼 공식 입장을 신중히 조율하는 분위기다.

 

이날 양 정상은 정상회담에서 양국 현안과 한반도 정세, 최근 국내 정치 이슈에 대한 입장을 나눌 전망이다. 대통령실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계정 진위와 정확한 취지를 확인하는 한편, 정상회담 이후 추가 입장을 내놓을 계획이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이재명#대통령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