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장에서 마약 중독 예방”…식약처, 스포츠 연계 캠페인 확대
스포츠와 공공 캠페인이 결합해 마약 오남용 예방의 사회적 메시지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9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LG트윈스와 키움히어로즈 프로야구 경기와 연계해 진행한 마약 오남용 예방 캠페인이 현장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질적 인식 확장을 도모했다. 실제 마약중독자 재활 사례와 국가 정책의 다양한 지원책이 맞물려, 건강한 사회로의 복귀 가능성에 업계와 시민사회 모두가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마약류 오남용 재해와 중독 문제는 선진 각국의 심각한 사회경제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식약처가 의료용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유통·처방과정의 관리 투명성을 높이는 한편, 1342 용기한걸음센터, 함께한걸음센터 등 통합 상담·재활 플랫폼을 24시간 운영 중이다. 이번 행사에서 식약처는 야구팬들이 마약류의 폐해와 사회복귀 지원의 중요성을 쉽게 공감할 수 있도록 경기장 매표소 부근에서 각종 홍보물을 전시했다. 관람객들에게는 LG트윈스와 1342센터 로고가 새겨진 부채 등 응원 물품이 배포돼 캠페인 참여의 경험을 높였다.

특히 경기 시작과 함께 ‘마약 중독을 던지고, 날려 버린다’는 상징적 시구·시타가 주목받았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이사장과 실제 마약중독 회복자가 각각 시구와 시타에 나서, 회복과 사회재활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았다. 경기 중 대형 전광판 영상과 TV 광고 등을 통한 반복 노출도 현장 팬들의 관심을 끌며, 관람 경험을 산업적·공공적 가치로 승화시켰다.
최근 미국·유럽 등은 마약 사범의 사회적 재활 인프라와 중독 예방 디지털 플랫폼 구축에 공공·민간이 협력하는 사례가 눈에 띈다. 반면 국내는 예방교육 확산과 유통 경로 차단이 주로 강조돼 온 상황이나, 17개 지역에 설치된 함께한걸음센터 등 현장 밀착형 재활 체계가 선진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식약처는 마약류 지정 확대를 통한 공급 차단, 의료기관 보고 기반의 오남용 추적, 중독자 대상 사회재활 지원 등 통합적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정책 현장에서는 의료정보 보호와 익명 상담, 지역사회 연계 대책 등 다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마약 문제 해결은 기술적 감시 못지않게, 사회적 회복 모델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마약 중독을 질병으로 인식하는 치료 중심 정책을 강조하며 “앞으로도 스포츠 등 대중 플랫폼과 연계한 예방활동 및 재활 지원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캠페인 모델이 스포츠와 공공의료, 사회복지 시스템 일원화 흐름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