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만에 최대 수출국 바뀌었다”…멕시코 부상에 북미 교역 지도 재편 전망
현지시각 기준 19일, 미국(USA) 뉴욕에서 북미 교역 구조 변화를 보여주는 통계가 공개됐다. 미국의 상품 최대 수출 대상국이 약 30년 만에 캐나다(Canada)에서 멕시코(Mexico)로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북미 자유무역 체제의 재편 흐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변화는 미국·멕시코·캐나다 3국 간 공급망과 소비 시장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미국의 상품 수출 규모는 1조4천억달러였으며, 이 가운데 2천264억달러가 멕시코로 향해 대멕시코 수출이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미국의 대캐나다 상품 수출액은 2천256억달러로 근소한 차이로 2위로 내려섰다. 지난해만 해도 미국의 최대 수출 대상국은 캐나다였고, 미국은 캐나다에 3천494억달러, 멕시코에 3천340억달러 규모 상품을 각각 수출했다.

뉴욕타임스는 1994년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이후 미국·멕시코·캐나다 3국의 경제와 공급망이 점차 상호의존적인 구조로 바뀌어 왔다고 짚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수출에서 캐나다 비중은 시간이 갈수록 줄어든 반면, 멕시코 비중은 꾸준히 확대돼 왔고 이번 통계는 그 흐름이 숫자로 확인된 사례로 평가된다. 멕시코가 미국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부상한 상황은 양국 간 정치적 긴장이 반복되는 가운데서도 두 경제의 연결이 얼마나 깊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신호라는 해석이 나온다.
멕시코 컨설팅업체 드 라 칼레 마드라조 만세라의 이코노미스트 알폰소 무뇨즈는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오늘이 변곡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멕시코와 미국 경제는 매우 높은 상호보완성을 지니고 있다”며, 2020년 발효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유지되고 별다른 경제 위기가 발생하지 않는 한 대멕시코 수출 확대 흐름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북미 자유무역 체제가 여전히 작동하면서도 그 내부에서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인구 1억3천만명을 넘어선 멕시코에서 경제 성장과 함께 중산층이 확대된 점을 가장 중요한 배경 요인으로 꼽고 있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며 자동차, 가전, 공산품 등 미국산 제품에 대한 구조적인 수요가 늘어난 데다, 미국 기업의 생산기지와 부품 조달망이 멕시코에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양방향 교역이 동시에 확대되는 구조가 형성됐다는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 정책도 결과적으로 멕시코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캐나다산 일부 수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 반면, 멕시코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 면제를 여러 차례 허용했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이 멕시코에 대한 투자와 교역 여건을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유지시켜, 장기적으로 미국 기업의 공급망을 멕시코로 더 끌어당기는 효과를 낳았다고 보고 있다.
무역 구조 변화는 수입 측면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미국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미국의 상품 수입 가운데 멕시코산 수입액은 3천549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멕시코는 이미 2년 전 중국(China)을 제치고 미국의 최대 수입국 지위에 오른 바 있으며, 올해에는 미국의 최대 수출 대상국 자리까지 차지하며 대미 수출·수입 모두에서 1위 파트너로 올라섰다. 같은 기간 기준 미국의 상품 수입 상위국은 멕시코가 1위, 캐나다가 2위, 중국이 3위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은 이러한 변화가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도 맞물려 있다고 해석한다. 미국 내 생산기지 회귀와 공급망 다각화 정책이 진행되는 가운데, 지정학적 리스크와 관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국 대신 지리적으로 가까운 멕시코가 대체 생산기지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북미 경제권 내부에서의 ‘리쇼어링’과 ‘니어쇼어링’ 흐름이 교역 통계에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북미 자유무역 체제의 연속성과 멕시코 내 중산층 소비 확대가 이어질 경우, 미국 기업의 공급망 재편과 대외 투자 방향에서 멕시코 비중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멕시코의 정치·치안 리스크, 미국 대선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등이 변수로 남아 있다고 지적하면서도, 양국 경제의 상호보완성이 이미 높은 수준에 올라선 만큼 단기간에 구조가 되돌려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북미 교역 구조 변화가 글로벌 공급망과 무역 질서에 어떤 파급 효과를 가져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