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철강 50% 관세 조정 국가적 관심 절실”…김영록, 한미 정상회담 성과에 강한 기대
정치

“철강 50% 관세 조정 국가적 관심 절실”…김영록, 한미 정상회담 성과에 강한 기대

박선호 기자
입력

철강산업을 둘러싼 관세 문제를 두고 지역사회와 중앙정부 간 긴장이 높아졌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7일, 한미 정상회담 이후 지속 중인 철강 50%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적 관심을 촉구했다. 특히 실무 협상 자리에서 관세 완화가 현실화돼야 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김영록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철강에 대한 50% 과도한 관세 문제는 실무 협상 과정에서 완화되도록 국가적 관심을 가져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전남 철강·조선업계를 둘러싼 현실을 감안할 때, 관세율 부담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상당함을 표면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미 정상회담 결과와 관련해서도 김영록 지사는 “전남도 입장에서는 우선 농산물 추가개방 논의가 없어서 다행”이라며, 농업 분야 우려가 일시적으로 해소된 점에 안도감을 표했다. 그는 “한미 정상회담 성공이 우리나라 경제회복의 기폭제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정부의 경제·외교 행보에 대한 기대와 함께, 지역균형발전의 필요성도 시사한 것이다.

 

정치권 일각에서 쏟아진 ‘이재명 정부 음해’ 주장을 겨냥해서는 “이재명 정부를 음해하는 허위 정보들이 지속해서 퍼뜨려지고 있다”며 “대한민국 국익이 걸린 문제에 여야가, 보수와 진보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는 정파 초월적 협력을 강조한 셈이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SNS를 통해 숙청 등 강경 발언을 내놓은 것과 관련해서도 김 지사는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힘을 빌려 국내 정치를 해결하려는 것 자체가 사대적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달된 내용이 조작되고 왜곡된 정보라면 외교를 방해하고 국익을 해치는 중대범죄 행위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한미 정상회담이라는 대형 외교 이벤트를 둘러싸고 정치권 공방이 가열되면서, 향후 실무협상 과정에서 철강 관세 등 실질 현안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주목된다. 정부는 산업현장의 우려와 지역 목소리를 청취한 뒤, 실질적 관세 완화를 목표로 한미 간 후속 협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영록#한미정상회담#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