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내부자거래 의혹 직면”…민중기 특검, 김건희 수사 정당성 타격
정치권에서 또다시 핵심 충돌 지점이 드러났다. 김건희 여사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가 태양광소재 기업 네오세미테크 주식 거래 논란에 휩싸이며, 특검의 도덕성과 수사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한층 격화됐다. 국민의힘 등 여권은 특검팀 수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공세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이번 의혹은 민중기 특별검사가 2010년 네오세미테크 회계 부정 사태 직전 주식을 처분해 1억5800만원 상당의 수익을 거뒀다는 사실에서 시작됐다. 일반 투자자 7000여 명이 4000억원대 손실을 떠안은 와중, 특검이 거래정지 직전 매도한 정황이 새롭게 조명됐다. 이에 대해 특검팀은 17일 언론 공지에서 "증권사 측 매도 권유에 따른 것"이라 해명했으며, 투자 결정도 지인을 통해 이뤄졌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증권사 직원이나 투자 지인이 누구인지, 정확한 매도 시점 등 핵심 사항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내부자거래 및 사적 네트워크 활용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민 특별검사와 네오세미테크 대표, 이사 간 친분 그리고 거래정지 시점의 주가 변동 추이는 미공개 정보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의문으로 연결되고 있다.
정치권은 민중기 특별검사가 수사 정당성을 잃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특검 수장이 유사한 의혹에 연루된 만큼,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수사를 수행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하며 특검 해체를 주장했다. 반면 특검팀은 "네오세미테크 사태는 당시 금융당국의 대규모 수사가 이뤄졌기에 부정거래 가능성이 낮다"는 방침을 내놨다.
한편 지난해 8월 김건희 여사 대면조사 과정에서도 네오세미테크 관련 투자 사실이 쟁점이 됐다. 특검팀은 김 여사가 "주식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진술하자, 2009년 해당 기업 신주인수권부 사채 투자 사례를 거론하며 기존 입장에 반박하는 등 공방이 이어졌다.
실제로 2010년 증권선물위원회가 네오세미테크 미공개정보 이용 거래자 명단을 검찰에 고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경영진 뿐 아니라 관계자 지인 일부에게도 혐의가 적용된 사실을 근거로, 특검팀 내부자거래 연루 의혹에 더욱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이 같은 논란은 특검의 독립성과 조사 신뢰도에 직접적 타격을 주고 있어 향후 김건희 여사 수사와 정치권 공방에 중대한 변곡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치권과 특검팀 모두 도덕성 논란과 수사 정당성 의혹을 둘러싼 정면 충돌 국면으로 접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