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임금협상 선도한 르노코리아”…노사 무분규 타결→산업 안정성 부각
한채린 기자
입력
르노코리아가 2025년 임금협상에서 국내 완성차 업계의 기준점을 제시했다. 25일, 부산공장에서 노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체결된 임금협상 조인식은 자동차 산업 내 노사 관계의 신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으로 인식되고 있다. 13차례에 걸친 성실한 교섭과 사원총회의 과반 찬성은 상호존중문화 속에서 이룩된 결과다.
지난 4월 상견례를 시작으로 이어진 다양한 논의들은 대화와 타협의 미학을 드러내기에 충분했다. 르노코리아는 올해 국내 완성차 기업 중 가장 먼저 임금 협상을 무분규로 매듭지으며 노동시장 안정화의 한 축을 담당했다. 이는 업계에 신속한 대응과 경영의 연속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시사하는 동시에, 부산공장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했다.

부산공장은 올해 초 기존 설비의 대대적 보강을 단행해 국내 자동차 산업 최초로 하나의 라인에서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순수 전기차의 혼류 생산이 가능한 첨단 시스템을 완성했다. 이러한 생산체제는 고객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주며, 미래차 시장에서 르노코리아가 차지하는 위상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속한 노사 합의와 생산 공정의 융합적 발전이 국내 자동차산업에 긍정적 자극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노사 상생의 토대 위에서 르노코리아가 보여준 산업적 리더십이 향후 시장 판도에 어떠한 의미를 던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채린 기자
밴드
URL복사
#르노코리아#임금협상#부산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