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안전·기업 신뢰 모두 타격”…송언석, 美억류 한국인 ‘추방’ 외교에 강력 비판
한국인 노동자 집단 추방 사태를 둘러싼 미국과의 외교 충돌이 정치권에서도 첨예한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9월 9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무능 외교의 책임을 묻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300여 명의 한국인 노동자가 구금된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미국 정부가 이들 중 상당수를 ‘추방’ 방침으로 결정한 것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의 신뢰 모두가 무능 외교의 직격탄을 맞았다”며 사태의 본질을 지적했다. 그는 특히 “크리스티 놈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은 억류된 한국인 대부분은 결국 추방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발언했다. 국내에서는 마치 석방을 끌어낸 것처럼 자화자찬했지만 실상은 추방이었다는 얘기”라고 날을 세웠다. 지난 8일(현지시각) 놈 장관이 영국 런던에서 열린 파이브 아이즈 정보동맹 국토 안보 장관 회의에서 “그들은 추방될 것”이라고 언급한 점도 강조했다.

이어 송 원내대표는 “국민을 속이고 진실을 호도한 기만행위가 국민적 분노를 더욱 키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사태가 ‘단순한 불법 체류 단속’이 아닌 한미 간 신뢰 훼손이 심각한 문제라고도 진단했다. 그는 “이번 사태로 한미 간 신뢰는 크게 흔들렸고, 한국기업의 미국 내 투자 환경에도 심각한 불확실성이 드리웠다”고 우려했다.
정치권 내부에서는 각 진영별로 외교 당국의 책임과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전략을 둘러싼 논쟁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야권 일각에서는 정부의 위기 대응 미흡을 지적하며, 외교 라인 전반의 신뢰 회복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반면 일부에서는 해당 사태가 양국간 사법 관할과 투자환경 전반의 구조적 문제라는 시각을 제시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미 양국의 경제 및 외교적 신뢰가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못하는 외교, 기업의 신뢰와 투자를 지켜내지 못하는 외교는 존재 이유가 없다”며 강력 대응을 시사했다. 국회와 정부는 구체적인 후속 대응 방안 논의를 예고하며 이번 사태의 파장과 책임 소재를 놓고 쟁점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